경제·금융

농협중앙회는 부실채권 회수를 강화하기 위해 전국 지점별로 맡아오던 채권관리 기능을 내년부터 시군 단위의 `채권관리점`을 통해 통합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농협 고위 관계자는 11일 “부실채권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시군별 지역본부 형태로 46곳의 채권관리점을 운영하고 있다”며 “내년부터 전국 871개 농협중앙회 지점의 채권관리계를 없애고 시군 단위의 법원소재지를 중심으로 채권관리점을 두고 통합관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채권관리점을 둘 경우 각 점포별 채권관리 인원이 대폭 줄어들고 동시에 부실여신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될 것”이라며 “부실채권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채권추심 업무를 전문적으로 통합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농협은 현재 신용카드, 기업대출 부문 등에서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 규모가 1조7,100억원에 이른다. <김홍길기자 what@sed.co.kr>

관련기사



김홍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