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이랜드 노사 '비정규직' 충돌

노조 "계산원 용역화 철회해야"…사측 "매장 무단점거 용납못해"

이랜드그룹은 홈에버와 뉴코아 소속 노동조합의 홈에버 월드컵몰점 점거와 관련, 비정규직의 용역화 철회 등의 노조 요구는 들어줄 수 없다며 법대로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이랜드 노조는 사측의 제안을 일축하고 시한 내 복귀의사가 없다고 밝혀 비정규직보호법 시행으로 촉발된 점거농성 사태는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랜드는 5일 서울 조선호텔에서 간담회를 열고 최근 민주노총이 오는 8일 전국 홈에버 매장을 점거하겠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매장을 무단 점거하고 영업을 방해하는 노조 측의 행위는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면서 “7일까지 복귀하면 징계를 최소화하는 등 최대한 선처할 것을 약속한다”고 밝혔다. 오상흔 홈에버 대표는 “비정규직보호법 시행에 맞춰 어려운 경영 상황임에도 홈에버의 경우 유통업계 최초로 521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면서 “그러나 노조 측이 수용할 수 없는 요구 조건을 내세우며 불법 농성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노조 투쟁으로 100억원이 넘는 매출 손실은 물론 기업이미지도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또 지난해부터 뉴코아 일부 점포에서 계산원을 위탁 운영해왔고, 홈에버의 2년차 이상 비정규직 직원도 회사 사정에 맞게 계속 정규직화할 계획이라며 사측이 비정규직을 대량 해고하고 있다는 노조 주장은 사실 무근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노조가 주장하는 뉴코아 비정규직의 용역화 철회는 원칙에 어긋나고 또 다른 문제를 야기시킨다며 들어줄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홍윤경 이랜드노조 사무국장은 “사측에서 뉴코아 비정규직의 용역화 철회, 20여명 홈에버 해고자 복직 등의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기 전까지는 7일은 물론 그 이후라도 복귀할 수 없다”며 노조의 매장 점거농성이 장기화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다만 사측이 아직까지 공권력 투입요청을 고려하지 않고 있고 물리적 충돌을 원하지 않는다고 밝힌 데다 노사가 6일 오후 2차 협상을 벌일 예정이어서 극적으로 해결될 가능성도 완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