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에너지 강국을 만들자] 수소 충전소등 3년내 설치가능

대체에너지 사업 현황

“연료전지는 석유를 대신할 ‘무한에너지원’을 찾기 위한 노력의 일환입니다.” 정광섭(사진) LG칼텍스정유 중앙기술연구소장(상무)은 원유를 수입 정제하는 정유사가 대체에너지 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이유를 화석연료의 한계와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라고 강조했다. 정 상무는 LG정유가 현재 연료전지와 함께 정유업계 대체에너지 사업의 양대 축인 수소충전소도 핵심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3년내 시험설치가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89년부터 개발에 들어간 LG정유의 연료전지사업은 연료전지의 심장이라고 할 수 있는 셀스택(Cell Stack)의 개발에 성공하면서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2000년 11월 설립된 연료전지 전문 자회사인 세티는 이미 지난 5월 1kw급 가정용 고분자 전해질 연료시스템을 개발했고, 이를 2007년까지 일반에 보급할 예정이다. 정 상무는 “셀스택은 전기를 연료전지에 저장하는 장치로 LNG(액화천연가스)를 이용한 연료전지가 상용화되면 가정마다 발전소를 하나씩 갖게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정 상무는 국내 연료전지 시스템에는 표준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한다. “우리보다 연료전지 사업에 먼저 뛰어든 일본의 경우 이니 상당부문 표준화를 갖추고 일부 지역에서는 각 가정이 발전소로 남는 전기를 전력회사에 되팔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상무는 또 “현재 연료전지에 의한 발전단가는 초기투자비를 고려한다면 kw당 380원으로 한국전력의 90원에 비해 매우 높다“며 설치비 보조 등 초기투자에 대한 정부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