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당정관계 '黨 우위'로 전환되나

■ MB·安대표 첫 월례회동<br>안상수 "충분한 사전 협의" 요청에 MB "당이 정부 견제하며 협력을"<br>"건강한 남북관계 돼야" 대북정책 변화 예고<br>친서민·공정사회 구현 위한 현장정치 강조도

이명박 대통령과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가 7일 청와대에서 첫 조찬 월례회동을 하고 있다. /왕태석기자

7일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안상수 한나라당 원내대표 간 첫 정례 월례회동은 대북정책의 변화 조짐과 당 주도 당정관계로의 전환을 엿보게 하는 자리였다. 또한 지난 5일 대통령이 장ㆍ차관 워크숍에서 강조한 공정사회 구현과 현장정치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강조됐다. ◇대북 정책 전술적 변화 예고=최근 인도적 대북 쌀 지원을 주장했던 안 대표가 이날 전향적인 대북정책을 요청한 데 대해 이 대통령이 "적절히 하려고 한다"고 답한 부분은 대북정책의 전략적 기조변화는 아니지만 전술적으로 다소 탄력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대목이다. 안 대표가 "20~30대에서 한나라당의 대북문제 해결방안 대해 지적하는 목소리가 많다. 이 부분이 좀 전향적이었으면 좋겠다"고 요청하자 이 대통령은 "남북관계도 건강한 관계가 돼야 한다.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적절히 하려고 한다. 적십자사에서 인도적으로 지원하려고 하는데 이것도 일보 전진"이라고 답했다. 배석했던 안형환 당 대변인은 "대통령의 워딩 그대로"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지만 3월 천안함 침몰사건 이후 꽁꽁 얼어붙은 남북관계가 일정 부분 대화와 압박을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으로 점차 변화되는 것 아니냐는 추측이 조심스럽게 나오고 있다. 실제 정부는 북한의 수해 현장 쌀ㆍ시멘트ㆍ중장비 지원 요청에 다소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여당에서도 정부 차원의 대북 쌀 지원에 대해 우선 국내의 굶는 아동과 서민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되 투명한 분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전제로 대북 인도적 지원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한 원유철 국방위원장도 남북 국방장관회담 재개를 촉구하는 등 여당에서도 점차 천안함 출구전략을 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집권 후반기 당 우위 당정관계 전환(?)=그동안 청와대와 정부의 독주에 뿔이 났던 여당은 당 우위로 비칠 수도 있는 당정관계 전환 의지를 피력했다. 안 대표는 "정책을 발표할 때 사전에 당정 협의를 충분히 해 불협화음이 없게 하면 좋겠다"고 요청했고 이 대통령은 당과 정부에 현장정치와 현장행정을 주문하며 즉답을 비켜가면서도 "당이 정부를 적절히 견제하며 협력하는 것이 좋다"며 안 대표에게 힘을 실어줬다. 홍준표ㆍ정두언 의원을 지칭하지는 않았지만 최고위원들이 단합하고 분파행동을 삼가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최근 행정고시 개편이나 통일세 도입, 공공요금 인상 등 잇따른 정부의 발표에 불만을 표출했던 여당이 집권 후반기 당 우위 당정관계 전환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안 대표는 또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이 개편돼야 한다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있다며 청와대 측에 전하기도 했다. ◇공정사회 구현 위해 현장정치 강조=청와대와 여당은 대ㆍ중소기업 상생과 지도층의 솔선수범 등 공정사회 구현 의지를 재차 다져 공정사회가 친서민과 함께 이 정권의 화두가 될 것임을 분명히 했다. 친서민과 공정사회 구현을 위한 구체적 방법론으로 민생현장 중시 방침을 밝혔다. 실제 이 대통령이 매주 국민경제대책회의를 정책현장에서 주재하는 것도 현장 정치와 행정에 대한 독려 표시로 분석된다. 이에 맞춰 안 대표도 최근 시동을 건 민생현장 탐방을 매주 실시하기로 했다. 현장정치의 대명사인 이재오 특임장관도 이 자리에서 "장관들이 몸을 던져 야당을 설득해야 한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의 백악관 실장들이 법안에 반대하는 의원들을 밤샘 설득하는 것을 봤다. 정치는 현장에 가면 답이 나온다"고 강조했다. 임태희 대통령실장도 "우문현답이라고 '우'리의 '문'제는 '현'장에 '답'이 있다"며 정부의 현장 드라이브를 예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