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두 전직 대통령 "北소행확실… 단호한 대응을"

李대통령, YS·전두환 前대통령 초청 '천안함 사고' 대화<br>각계 원로 의견 수렴 이어 '국론 모으기' 적극 행보

이명박 대통령과 전두환·김영삼 전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함께하기에 앞서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SetSectionName(); 두 전직 대통령 "北소행확실… 단호한 대응을" 李대통령, YS·전두환 前대통령 초청 '천안함 사고' 대화남북정상회담 관련… MB "만남위한 만남 없다" 문성진기자 hnsj@sed.co.kr 이명박 대통령과 전두환·김영삼 전 대통령이 23일 청와대에서 오찬을 함께하기에 앞서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김영삼ㆍ전두환 전 대통령은 23일 이명박 대통령의 초청으로 청와대에서 열린 오찬에서 천안함 사태를 북한의 소행으로 규정했다. 청와대 관계자에 따르면 이날 오찬에서 김 전 대통령은 "100% 북한 어뢰"라고 말했고 전 전 대통령은 "본인의 경험으로 볼 때 북한의 소행이 확실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낮12시부터 시작된 오찬은 김 전 대통령과 전 전 대통령의 화해 무드가 조성될 정도로 화기애애했지만 천안함과 연관된 대북(對北) 발언은 매우 강경했다. 먼저 김 전 대통령은 "100% 북한 어뢰"라고 단언했다. 그는 또 자신의 임기 중인 지난 1996년 동해 잠수함 침투사건을 언급하며 "당시에 북한에 강경하게 항의해서 북한이 결국 사과했다"면서 "이번에도 이것이 북한의 소행으로 확인되면 단호한 대응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최근 일각에서 '북한은 주적'이라는 개념을 부활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과 관련, "지난 10년간 주적 개념조차 없어지는 등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며 "반드시 국방백서에 주적 개념을 넣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전 대통령도 이 같은 김 전 대통령의 주장에 공감한 뒤 "북한이 과거에도 한편으로는 정상회담을 하자고 하면서 뒤로는 아웅산 폭발사건(1987년), KAL기 폭파사건(1983년) 등을 자행하는 양면전술을 구사해왔다"고 비난했다. 또한 그는 "본인의 경험이나 판단에 비춰볼 때 북한의 소행임이 분명한데 그에 대응하려면 비상한 결단이 필요하다"면서 "개성공단 철수 등 강력한 대응을 해야 하고 제주해역 자유통항조치도 취소해 한다"고 지적했다.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문제와 관련, 전 전 대통령은 "전세계 어떤 나라도 국방을 혼자 책임지는 나라는 없다"면서 "반드시 연기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김 전 대통령도 "전적으로 동감"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남북 정상회담과 관련, "나는 임기 중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한번도 안 만나도 좋다는 입장을 일관되게 지켜왔다"고 강조했다. 또한 "나는 만남을 위한 만남, 정치적 의도를 깔고 하는 만남은 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해왔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두 전직 대통령은 "남북관계는 그렇게 규율해가야 한다"고 공감을 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오찬을 마치면서 "모처럼 두 분이 만나셨는데 나라의 어른들이니까 더 건강하고 화기애애하게 화합해주면 좋겠다"며 와인으로 건배를 권했다.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은 "오늘 오찬은 무엇보다 중요한 국가 안보를 위해 전ㆍ현직 국군통수권자 3명이 모여 경륜과 지혜를 모으는 자리였다"면서 "이 대통령이 청와대 본관 현관 앞까지 나가 두 전직 대통령을 영접하고 오찬을 마친 뒤에도 끝까지 배웅하는 등 예우를 갖췄다"고 덧붙였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