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옵션 쇼크' 조사 외국과 공조 검토

이른바 ‘옵션만기 쇼크’를 조사 중인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외국계 자금의 시세조종 여부를 밝히기 위해 외국 금융 당국과 공조 조사를 실시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감원 고위관계자는 21일 “이번 사태의 경우 사안의 심각성이 크다고 보고 통상의 불공정거래 혐의 사건보다 조사인력을 대폭 늘렸다”며 “필요한 경우 외국 금융 당국과 공조 조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이례적으로 특별조사팀 조사전문가 4명을 동시에 투입, 거래소와의 공동조사를 통해 사고 당일 대량 매도주문과 풋옵션 매수를 비롯한 거래내역에 대한 1차적인 스크린을 거쳐 정밀분석에 착수했다. 금감원은 이번 불공정거래 과정에서 치밀한 계획 아래 현물과 선물의 연계거래를 위해 관련정보 유출을 통한 선행매매나 통정매매와 같은 불공정거래 기법이 동원됐는지에도 주목하고 있다. 거래소도 현재 도이치증권 한국지점으로부터 당일 거래내역을 담은 전산 파일을 입수해 본격적인 심리에 들어갔다. 일각에서는 주요 조사 대상이 유럽계 기관투자가를 비롯한 외국인이라서 이들이 조사를 거부할 경우 혐의를 잡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으나 금감원은 혐의 입증의 밑바탕이 되는 경위파악에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금감원은 불공정거래 혐의를 입증하는 과정에서 당사자 간 통신내역 등을 확인해야 하지만 현행법상 금감원이 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점을 고려해 관련 혐의가 포착되면 검찰에 넘길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