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태극기 배포 '시큰둥' 연예인 등장엔 '들썩'

3·1절 행사장의 요즘 젊은이들 태극기 나눠줘도 외면<br>가수 무대오르자 열광 행사참석 노인들 '허탈'

광복회와 운암 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 회원들이 삼일절을 하루 앞둔 28일 서울 명동에서‘나라사랑 태극기 게양운동 및 배포행사’를 열고 만세삼창을 하고 있다. /고영권기자

삼일절을 하루 앞둔 28일 정오 서울 명동 우리은행 앞. 백발이 성성한 머리와 깊이 패인 얼굴 주름에서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어르신들이 나타났다. 말쑥한 정장 차림에 태극기를 손에 든 그들은 광복회 회원. 시민들에게 태극기를 나눠주면서 삼일절의 의미를 다시 한번 강조하기 위해 서울 번화가 한복판에 모인 것이다. 뜻깊은 행사를 앞둔 회원들의 얼굴에서는 설렘이 엿보였다. 김국주 광복회 회장은 행사에 앞서 “우리나라가 그 동안 경제적으로는 많이 성장했지만 국민들의 애국심은 오히려 뒤처지고 있다“며 “국가를 사랑하는 마음이 없어진다면 지난 날의 치욕을 되풀이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행사 의의를 밝혔다. 하지만 거리 한편에 꾸며진 태극기 무료 배포 행사장 옆을 지나는 젊은이들은 무표정했다. 일부 젊은이들은 행사 관련 홍보 전단지를 곧바로 던져버리기도 했다. 그러나 단상에 한 인기가수 그룹이 올라서자 상황이 돌변했다. 젊은이들은 단상을 둘러싸고 너도 나도 카메라폰과 디지털카메라를 들어 올렸다. 대학생 이모(22)씨는 “봄을 앞두고 옷을 사러 명동에 나왔다”며 “가끔 명동에 오면 연예인을 볼 수 있어 좋다”고 즐거워했다. 태극기를 받기 위해 줄을 서 있던 노인들은 이런 젊은이들의 뒷모습을 보며 혀를 찼다. 최모(69) 할아버지는 “요즘에는 태극기를 어디서 파는지 몰라 이번 기회에 태극기를 얻어 손주에게 갖다 줄 생각이었다”며 “갑자기 우리 손주도 저러지 않을까 걱정이 된다”고 말했다. 함께 서 있던 김모(72) 할아버지도 “요즘 연예인이 최고 직업이라고 하지만 그래도 내일은 삼일절인데…”하며 씁쓸해 했다. 김용휘 광복회 위원은 “국경일의 국기 게양이 의무사항은 아니지만 국기 게양률이 10%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젊은 사람들이 무관심하다”며 “그래도 이런 행사를 꾸준히 하다 보면 국기 게양률이 50%가 될 것”이라며 젊은이들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