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서울·영남저축은행 영업정지

금융위, 신라는 퇴출 연기

웅진그룹 계열의 서울저축은행과 옛 한국저축은행 계열인 영남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됐다. 이명박 정부의 마지막 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새 정부에 부담을 주지 않겠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위원회는 15일 금융위를 열고 서울과 영남저축은행 2곳을 영업정지시키기로 했다.

서울저축은행은 웅진홀딩스가 기업회생작업에 들어가면서 자본확충이 어려워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6.26%에 불과하다. 웅진 인수 이후 부실을 상당히 털어왔지만 채권단 입장에서 추가로 자금을 투입해 살리기보다는 퇴출시키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영남저축은행도 한국저축은행이 퇴출되면서 예금보험공사의 관리를 받아왔지만 추가 증자가 불가능해 이번에 영업정지를 받게 됐다.

관련기사



다만 서울ㆍ영남과 함께 영업정지를 받을 예정이었던 신라저축은행은 당분간 퇴출이 미뤄졌다. 신라 측이 최근 금융위의 부실금융기관 지정에 대한 집행정지신청과 본안소송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신라저축은행은 지난해 말 기준 BIS 비율이 -9.13%로 부실이 크게 악화한 상태다. 감독 당국의 한 관계자는 "신라 측이 소송을 냈지만 결국은 시간 벌기에 불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과 영남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되더라도 주말을 통해 가교저축은행으로 바로 계약이 이전될 계획이어서 고객 입장에서는 큰 불편을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수차례에 걸친 저축은행 구조조정으로 예금 보장이 되지 않는 5,000만원 이상의 고액예금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이지만 일부 후순위채 투자자들은 손실이 불가피하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