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SK㈜, 제3 FCC 건설한다

울산 사옥부지주변등 11만평에 2兆투자<BR>2008년 완공…日분해능력 7만배럴 수준”<BR>수익개선·원유도입비용 수천억 절감 기대


국내 최대 정유회사인 SK㈜가 2조원을 투자, 2008년 9월까지 울산 정유공장내에 세번째 중질유분해시설인 FCC(Fluid Catalytic Cracking)를 건설한다. SK㈜는 6일 “상대적으로 값싼 중유를 휘발유, 나프타 등 각종 석유제품으로 재생산하는 FCC 건설 세부계획을 확정했다”며 “부지확보를 위해 울산시 등과 협의중”이라고 밝혔다. SK㈜ 울산공장 관계자는 “현재 예비군 훈련장으로 이용 중인 용현사옥부지 주변에 또 하나의 FCC를 건설할 예정으로 증설규모는 약 11만평, 일일 7만배럴 수준”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제품저장을 위해 30기 내외의 야드탱크를 함께 만들 것”이라고 덧붙였다. SK㈜는 현재 일일 4만5,000배럴의 수소첨가분해시설(HOU : Heavy Oil Upgrading)과 일일 5만6,500배럴의 FCC 등 2개의 중질유분해시설을 가동하고 있다. 제3 분해설비가 완공되면 SK㈜의 중질유분해능력은 일일 17만1,500배럴로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고부가 석유제품 생산으로 수익성이 더욱 개선되고 연간 수천억원에 달하는 원유도입비용 절감도 기대된다. SK㈜의 하루 원유정제능력은 84만배럴로 이중 약 40만배럴 이상이 중유로 생산된다. 그러나 중유를 휘발유 등으로 바꿔주는 고도화 설비 용량은 현재 10만1,500배럴에 불과, 하루 약 30만배럴의 중유를 싼 값에 수출 또는 내수판매하고 있다. SK㈜ 관계자는 “자금확보 등 설비증설에 필요한 모든 준비를 마친 상태”라며 “울산시로부터 녹지를 매입해 용도변경하는 일만 남아있다”고 설명했다. SK㈜는 이를 위해 울산시 전체 녹지가 줄지 않도록 새로운 녹지를 조성, 기부채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SK㈜는 이와 함께 내년부터 휘발유와 경유제품의 황 함량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각각 640억원과 520억원 등 총 1,160억원을 투자, 울산공장에 초저유황 휘발유와 경유 생산설비를 구축했다고 이날 밝혔다. SK㈜ 관계자는 “지난달까지 가솔린 탈황시설(GDS:Gasoline DeSulfurizationㆍ사진) 시운전을 마치고 이달 초부터 정상가동에 들어갔으며, 내년부터 친환경 휘발유를 공급한다”고 말했다. 한편 SK㈜는 울산공장 내 등경유 탈황시설 5기 중 2기를 개조, 심도탈황 시설을 마련하고 지난달부터 초저유황 경유 생산을 시작했다. SK㈜는 현재 30ppm 이하의 초저유황 경유를 수도권 전 지역에 내보내고 있다. 이번 시설확충으로 SK㈜는 30ppm을 훨씬 밑도는 경유제품 생산을 할 수 있게 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