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퍼주기식 이벤트 수두룩… 10곳 중 4곳 수익 '0'

■ 지자체 예산 없다면서 축제는 펑펑

경기도 무료 축제 가장 많아 경제 파급효과 신뢰성도 의문

최소한 유료화·축제 통합 등 "구조개선 서둘러야" 목소리


한 해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크고 작은 지역 축제나 행사는 대략 2,400여개에 달한다. 관련 산업이나 문화 증진을 포함해 주민 공동체 의식 제고를 위한다는 명분에서다. 하지만 이들 행사에는 국비를 포함해 지방자치단체 자체 예산이 상당 규모로 투입된다. 특히 최근 들어 각 지자체들이 재원악화를 고민하는 상황이어서 최소한의 유료화 전략이나 유사 축제 통합 등의 구조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거세다.

24일 안전행정부와 각 지자체에 따르면 지난해 대형 축제나 행사 395개(광역단체 5억원, 기초단체 3억원 이상) 가운데 지자체가 수익을 올리지 못한 행사가 무려 161개에 달했다. 지역 축제 10개 가운데 4개는 수익이 전혀 없는 셈이다.


광역시도 가운데 서울시에서 지난해 5억원 이상의 예산이 투입된 각종 축제는 16개였으나 이에 따른 수익이 '0'인 경우가 11개에 달했다. 이어 부산이 19개 중 9개 행사에서 수익이 없었고 대구 역시 13개의 각종 축제 가운데 5개에서 수익을 올리지 못했다.

지역별로 보면 경기권이 사실상 무료 축제나 행사가 가장 많았다. 경기도 지역에서는 지난해 모두 57개의 대형 축제 또는 행사가 열렸는데 이 가운데 30개가 수익 '제로'를 기록했다. 전남과 경북 역시 각각 40개와 58개의 행사 가운데 각 21개 행사에서 수익을 전혀 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업별로는 경기도가 개최한 경기국제보트쇼의 경우 1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국내 최대 규모의 해양레저산업 전시회, 컨퍼런스 등을 열었으나 사업 수익은 없었고 충남 부여군이 진행한 백제문화제 역시 17억원이 투입됐으나 이렇다 할 수입 없이 축제가 끝났다.


지자체들이 축제를 기획할 때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놓는 경제적 파급 효과의 신뢰성에 대한 의문도 많다. 지자체들은 축제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적게는 투입예산의 10배, 또는 30~40배에 달할 것으로 주장한다. 일부 지자체는 이를 무려 80배까지 잡는 곳도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 얼마만큼의 효과가 있었는지를 명확히 따져보는 곳은 드물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관련기사



한 지자체 관계자는 "축제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힘들지만 대다수의 행사가 평균적으로 30배 정도를 잡고 있어 이를 참고하는 경우가 많다"며 "기본적으로 축제나 행사가 공공의 이익을 위한 이벤트라는 점에서 수익에 대해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물론 지자체 행사 가운데 수익을 내는 곳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해 경남 산청군의 전통의약엑스포의 경우 투입된 예산(276억원)보다 11억원 더 많은 287억원의 수익을 올려 가장 수익성이 높았고 강원도 화천군의 산천어축제도 29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9억8,000만원의 수익을 거뒀다. 이 밖에 부산콘텐츠마켓이나 안산항공전 등도 수익이 투입예산의 60%를 넘어 비교적 양호한 행사로 나타났다.

관람객 부풀리기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충남 계룡시의 '2014 군문화축제'를 비롯해 대전시의 와인페스티벌, 그리고 가평균의 싱싱겨울축제 등도 주먹구구식 관람객 집계로 지방 축제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다만 진주시의 경우 남강유등축제를 유료화하기로 하고 이달 초 열린 행사에서는 출입구에 센서를 도입해 관람객 수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을 도입해 눈길을 끌었다.

진주시의 한 관계자는 "축제가 열리는 곳이 개방된 자연지형인 만큼 모든 관람객을 다 셀 수는 없었지만 진주성을 통해 들어온 인원은 파악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행사를 유료화로 전환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지자체의 이 같은 축제 재정운용과 관련해 선진국처럼 최소한의 입장료 등을 받는 방식을 확산하고 유사 축제의 통합과 독창적 콘텐츠 발굴을 통해 재정효율화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한다. 현재 지방의 경우 재정자립도가 50%선에 불과하고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리는 상황에서 마냥 퍼주기식이나 현직 단체장의 치적을 위한 선심성 축제·행사는 자제돼야 한다는 것이다.

조현철 대구대 호텔경영학과 교수는 "선진국의 경우 상당수 축제들이 대부분 약간의 입장료를 받고 있는데 국내 지자체들도 이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며 "국비를 교부금으로 타내 자체 예산과 함께 축제 비용으로 쓰더라도 결국 국민들의 주머니에서 나온 돈인 만큼 재정효율화에 신경을 써야 할 때"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