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연계신용 이자율 공시한다

잔액 1년새 3,000억 늘자 투자자 보호 위해 의무화 추진


올 들어 크게 늘고 있는 연계신용(스탁론)의 이자율을 개인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연계신용은 개인 투자자들이 증권사를 통해 저축은행 등에서 자금을 조달,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최근 수요가 늘고 있으나 이자율 공시 등 안전장치가 미흡해 투자자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14일 "신용거래융자와 달리 연계신용의 경우 이자율이 투자자에게 제대로 공시되지 않고 있다"며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연계신용 이자율을 의무 공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어 "증권사 상품별로 이자율을 공시하도록 할지, 저축은행ㆍ캐피털ㆍ보험의 상품별로 할지를 두고 논의하고 있다"며 "시행시기 등 세부사항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금융감독 당국이 이자율 공시 등 방안 마련에 착수한 것은 올 들어 연계신용 수요가 크게 늘면서 투자자 보호에 구멍이 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말 기준 연계신용 잔액은 1조3,323억원으로 단 4개월 만에 1,793억원 급증했다. 특히 1년 새 3,000억원가량 크게 늘면서 2010년 금융투자협회가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 중이다.


반면 이자율 공시 등 안전장치는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게 현실.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주식에 투자하는 신용거래융자의 경우 금투협에서 기간별 이자율 등을 상세히 알리고 있으나 연계신용은 외부 공시가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때문에 투자자들은 연계신용에 나설 때 온라인 광고나 전화상담 등 다소 제한된 범위에서 이자율 등의 정보를 접하고 있는 실정이다.

관련기사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일반적 연계신용 광고를 보면 '업계 최저 00%' 등을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이자율은 다른 경우가 왕왕 있다"며 "그만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장치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연계신용의 경우 신용거래융자에 비해 담보유지비율이 낮은 반면 대출한도는 커 투자 위험이 높다"며 "금융당국이 한때 115%인 담보유지비율을 신용거래융자와 같은 140%로 올리고 대출한도도 축소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알려졌으나 아직 현실화되지는 못했다"고 덧붙였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