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아파트 주간 시세] 매매·전세 양극화 당분간 지속될듯


소형주택 공급 및 전세자금 대출을 늘리는 내용의 '전ㆍ월세시장 안정화대책'이 발표됐지만 수도권 전세값은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갔다. 대책이 나온 지 얼마 되지 않아 좀더 시장흐름을 지켜봐야 하지만 당장 전세값을 잡기는 어려워 보인다는 게 대다수 부동산 전문가들의 전망이다. 반면 매매수요는 여전히 관망세를 보이고 있어 매매ㆍ전세 양극화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은 0.01% 상승했고, 신도시와 수도권은 각각 0.02%씩 올랐다. 서울에서는 ▦강서(0.06%) ▦도봉(0.06%) ▦송파(0.04%) ▦강동(0.03%) ▦동대문(0.02%) ▦마포(0.02%) 등이 올랐다. 강서구에서는 중소형주택 위주로 저가매물이 소진되면서 호가가 상승했다. 화곡동 우장산아이파크, 염창동 염창1차보람더하임, 방화동 한미 등이 주택형 별로 500만~1,000만원씩 상향됐다. 도봉구 역시 쌍문동 삼익세라믹, 도봉동 서원 등 소형주택이 500만원 정도 올랐다. 송파구에서는 재건축호재가 있는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났다. 서울시의 종상향 심의를 앞두고 있는 가락시영1ㆍ2차가 주택형 별로 500만~1,000만원 가량 올랐다. 법조타운 조성 호재가 있는 장지동 송파파인타운도 500만원 가량 소폭 상승했다. 신도시에서는 ▦분당(0.03%) ▦산본(0.03%) ▦중동(0.03%) 등이 올랐고 일산과 평촌은 변동이 없었다. 분당에서는 실수요자 중심으로 일부 소형 저가매물이 거래되고 있다. 구미동 까치대우롯데선경, 서현동 시범삼성한신 등이 중소형 물건 위주로 1,000만~2,000만원 정도 상승했다. 산본에서는 일부 전세에서 매매로 돌아서는 수요가 나타나며 산본동 매화주공14단지, 가야주공5단지 등이 500만원 정도 올랐다. 수도권에서는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오름세가 나타나고 있다. ▦안양(0.08%) ▦용인(0.08%) ▦하남(0.07%) ▦오산(0.05%) ▦고양(0.04%) 등이 올랐다. 안양은 급매물 소진 이후 호가가 오름세를 타고 있다. 안양동 호계현대, 비산동 삼성래미안 등이 500만원 정도 상승했다. 용인에서는 죽전동 꽃메마을 현대홈타운4차3단지와 상현동 상현성원1차 등이 500만~1,000만원 정도 올랐다. 서울 전세시장은 본격적인 학군 수요가 나타나며 중소형 물건에 이어 중대형에서도 오름세가 나타나고 있다. 서울에서 집을 구하지 못하고 수도권외곽으로 밀려나는 수요자까지 나타나고 있어 '풍선효과'에 따른 추가 상승이 예상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