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부실銀 공적자금 7조7,300억 요청

부실銀 공적자금 7조7,300억 요청 한빛·평화·광주·제주 등 경영평가에서 독자생존을 승인받지 못한 4개 은행이 22일 수정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하면서 총 6조800억원에 달하는 공적자금 지원을 요청한다. 또 경영개선 계획 제출대상에서 제외된 서울은행과 경남은행도 각각 1조 5,000억원과 1,5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할 계획이어서 은행권 부실해소에 들어가는 공적자금 규모는 7조7,30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한편 한빛은행은 정부 주도의 금융지주회사 편입을 전제로 향후 경영개선 방향을 수정 계획서에 포함시키기로 한 반면 평화·광주 등 나머지 은행들은 한빛은행 중심의 지주사 편입에 대해 노조측이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막바지까지 진통을 겪고 있다. 21일 금융계에 따르면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했다가 승인을 받지 못한 한빛·평화·광주·제주은행과 독자생존 승인을 얻은 조흥·외환은행이 22일중 금융감독원에 수정 경영개선계획을 제출한다. 한빛은행의 경우 지난 9월말 3조7,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했으나 대우자동차 부도 등으로 추가 손실이 늘어남에 따라 수정안에서는 1조 1,000억원을 늘려 4조8,000억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한빛은행은 또 올해 1,100명, 내년 400명 등 총 1,500명의 인원을 감축하는 것 외에 추가로 100명 정도를 더 줄이기로 하고 노조측과 협의를 벌이고 있으며 금융지주사 설립과 관련해서는 지주사 편입을 전제로 자회사들을 '손자회사'로 그대로 가져가는 등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출할 예정이다. 평화은행은 당초 카드사업 부문을 매각하고 예금보험공사의 출자를 받아 독자생존을 하려고 한 계획에 차질이 빚어짐에 따라 일단 카드 부문의 매각을 전제로 2,6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할 계획이다. 평화은행은 그러나 카드 부문 매각이 안될 경우에는 약 5,800억원을 요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평화은행은 또 금융지주사 설립 방안을 놓고 경영진은 일단 정부방침을 따르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노조측이 한빛은행 중심의 지주사 편입에 강력 반발, 추가 감원(100~150명 정도)에 대한 동의서 제출을 거부하고 있어 최종 방안을 확정짓지 못하고 있다. 광주은행도 지난 9월 말 4,6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요청했으나 이번 수정안에서는 5,000억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제주은행의 경우 공적자금은 기존의 2,000억원을 유지하고 인원감축은 당초의 35명에서 30명을 추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한편 경영개선계획 제출대상에서 제외된 서울은행도 당초 안(1조3,000억원)보다 많은 1조 5,000억원 가량의 공적자금 요청을 계획하고 있고 경남은행도 새로 1,500억원 공적자금 투입을 요청할 방침이다. /이진우 기자 rain@sed.co.kr 김상연 기자 dream@sed.co.kr입력시간 2000/11/21 18:27 ◀ 이전화면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