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뉴스 포커스] 시대 역행 전경련 이젠 깃발 내려라

정치권에 불법로비 시도 등<br>되레 反기업 정서만 부추겨<br>창립 50년… 자정 능력 상실<br>스스로 해체선언하는게 도리

오는 16일로 창립 50주년을 맞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최근 정치권에 후원금 제공 등 불법 로비를 추진하려다 발각돼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돈으로 입법활동을 좌지우지하려는 전경련의 부도덕성과 시대착오적 정경유착 시도에 정치권ㆍ시민단체는 물론 국민들도 경악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제에 나라의 법질서와 사회통합을 훼손하며 재벌 총수와 대기업의 이익만 관철시키려는 전경련을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사실 전경련은 지난 압축경제성장 시기 통치자에게 정치자금을 모아주는 통로였다. 반대급부로 총수들은 문어발식으로 기업을 확장하며 재벌로 키웠다. 전경련을 매개로 한 과거의 정경유착은 지금도 여전히 반(反)기업정서의 근원지로 국민들의 뇌리에 박혀 있다. 문제는 지금도 전경련이 다수 회원사의 의도와 달리 불필요한 사회적 갈등을 유발하고 기업과 기업인을 폄하하는 '원죄'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 불만이 곳곳에서 터져 나올 수밖에 없다. 재계도 "전경련이 세운 계획은 명백히 뇌물살포에 해당한다"고 즉각 비판했다. 앞장서 경제성장을 이끌고 공동체를 위해 기여하며 과거와의 단절 노력에 전력을 기울여도 시원찮을 전경련이 거꾸로 대기업 전체를 불법집단으로 매도 당하게 만든 것이다. 전경련의 망동은 '양철(정병철 상근부회장, 이승철 전무)'로 불리는 사무국 고위인사들의 무능과 독단ㆍ전횡에서 비롯됐다는 게 재계 안팎의 중론이다. 시대정신이 뭔지 모르는 이들은 소통이 되지 않을 뿐 아니라 군림하려는 자세로 일관해 회원사들로부터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전경련은 회장단 차원의 대국민 사과는커녕 사무국에서도 반성의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다. 스스로 개혁하고 변화할 수 있는 자정능력을 상실해버렸다는 방증이다. 전경련이 스스로 해체선언을 해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만약 지금과 같은 전경련이 계속 존재한다면 그나마 남아 있는 기업가정신이 왜곡될 수 밖에 없다. 창립 50주년을 맞기 전에 서둘러 결정을 내려야 한다. 그것이 지난 50년 동안 기업들이 국가와 민족을 위해 쌓은 적지 않은 공(功)을 더럽히지 않는 유일한 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