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륜기' 의미 내세워 IOC위원들 설득
1년반 동안 지구 13바퀴 도는 강행군
李대통령·이건희 회장 등 '일등공신'
환상적 프레젠테이션으로 승리 쐐기 동계종목별 전문 운영 요원 양성 시급
스폰서 적극 참여 등 기업들 도움 필요
강원지역 특구지정·군인공제회 투자땐
수익창출 등 재정문제도 어려움 없을것 "평창동계올림픽은 대한민국이 경제뿐 아니라 체육과 문화, 국민의식도 진정한 선진국의 반열에 올랐음을 전세계에 알릴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우리나라가 올림픽을 통해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국격을 한 단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합니다." 박용성(71ㆍ사진) 대한체육회장(두산중공업 회장)은 "그동안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전세계가 부러워할 만큼 눈부신 성장을 이뤄냈지만 아직 일부 외국인들 사이에서는 문화적 시민의식이 부족하다는 비아냥을 들어왔던 게 사실"이라며 "이제는 우리도 평창동계올림픽을 통해 국제사회에 대한민국의 성숙한 시민의식을 보여줄 때가 됐다"고 강조했다. 지난 6일 지구 반대편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에서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로 평창이 최종 결정되자 박 회장은 두 손을 번쩍 들고 만세를 불렀다. 세번에 걸친 평창의 동계올림픽 도전을 함께해왔던 그간의 설움이 모두 날아가는 순간이었다. 박 회장은 2003년과 2007년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이자 국제유도연맹 회장 자격으로, 이번에는 대한체육회의 수장으로서 유치전에 나섰다. 지난 1년 반 동안 그가 비행한 거리는 지구 13바퀴에 해당하는 51만375㎞. 최근 서울 방이동 올림픽회관에서 만난 그의 얼굴에는 당시의 여운이 가시지 않은 듯 인터뷰 내내 웃음꽃이 폈다. 평창동계올림픽 유치의 최전선에서 뛴 박 회장을 만나 평창의 성공 스토리와 함께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 풀어야 할 과제들에 대해 들어봤다. 박 회장은 소감을 묻자 자신의 공을 다른 이들에게 먼저 돌렸다. 그는 "이번 올림픽 유치의 일등 공신을 꼽자면 단연 이명박 대통령"이라며 "88 서울올림픽 유치 당시에도 대통령이 직접 나선 적이 없었지만 이 대통령은 최종 개최지가 결정되는 남아공 더반에서 무려 닷새나 머물며 IOC 위원들을 직접 만나 지지를 호소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IOC 위원 자격으로 전세계를 동분서주한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의 공로도 빼놓지 않았다. 박 회장은 "올림픽유치위원들 사이에서 만약 이 회장이 과거에도 이번처럼 적극적으로 나섰다면 벌써 유치에 성공했을 것이라는 농담이 나돌 만큼 정말 열심히 뛰셨다"며 "원래 이 회장이 친하지 않은 사람의 집에 가서 밥 먹는 것을 즐기지 않는 성격인데 몸이 불편한데도 올림픽 유치를 위해 직접 IOC 위원들의 집까지 찾아다니며 함께 식사했을 정도로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고 치켜세웠다. 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도 성공 요인으로 꼽았다. 박 회장은 "유치위원회에서 요구하는 거의 모든 사항을 정부가 다 해결해줬기 때문에 유치에 실패할 경우 그 뒷감당을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도 많이 됐다"며 "유치위 직원들에게 '혹시라도 이번에 실패한다면 돌아오는 비행기 화물칸에 나를 싣고 올 각오를 하고 뛰라'고 당부하며 전의를 다졌다"고 털어놓았다. 그는 무엇보다 우리가 올림픽 유치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가 하나된 마음으로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똑바로 우리의 갈 길만을 갔기 때문"이라고 평가했다. 지난해 10월 멕시코 아카풀코에서 올림픽 유치도시를 소개하는 첫 프레젠테이션을 할 때만 해도 세계 언론은 우리를 2등으로 평가했다. 특히 당시 외신들은 평창을 '리조트에서 한 발짝만 나가면 아무 것도 볼 게 없는 산골마을'이라고 혹평했다. 반면 경쟁도시인 독일 뮌헨의 경우 130만명이 넘는 인구에다 수많은 박물관과 미술관 등 볼거리가 풍부한 관광명소라는 점을 내세웠다. 그러나 박 회장은 결코 낙심하지 않았다. 오히려 1등보다는 2등으로 출발하는 게 더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그는 "만약 처음부터 우리가 1등으로 평가받았다면 다른 경쟁국들의 견제가 더욱 심했을 뿐 아니라 우리 스스로도 자만에 빠졌을 것"이라며 "하지만 우리는 쫓아가는 입장이다 보니 계속 공격적으로 나섰고 독일은 방어로 일관하는 수세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점차 전세가 역전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의 말대로 상황이 심상치 않음을 느낀 독일은 '동계스포츠의 뿌리로 돌아가자'라는 유치 슬로건을 앞세워 유럽 IOC 위원들을 공략했지만 결국 최종 득표수 63(평창)대25(뮌헨)라는 참담한 결과를 맛봤다. 반면 평창은 '새로운 지평을 열자'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IOC 위원들의 마음을 움직였다. 2010년 캐나다 밴쿠버까지 총 21회에 걸쳐 동계올림픽이 열렸지만 사실상 북미와 유럽이 모든 개최지를 거의 독식해왔다. 박 회장은 이 같은 모순을 지적하며 표밭갈이에 나섰다. 박 회장은 IOC 위원들을 만날 때마다 "올림픽을 상징하는 오륜기는 다섯 대륙을 뜻하는 5개의 원으로 이뤄져 있는데 동계올림픽은 북미와 유럽이 독차지해왔으니 2개의 원만 사용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IOC 위원들을 설득했다고 전했다 개최지를 최종 발표하는 날 경쟁도시들을 압도한 완벽한 프레젠테이션은 우리의 승리에 쐐기를 박았다. 박 회장은 "본래 프레젠테이션은 잘해야 본전이지만 한국이 이러한 정설을 깨뜨렸다는 평가를 받았다"며 "물론 오래전부터 유치 준비도 잘해왔지만 환상적인 프레젠테이션 덕분에 추가로 3~4표는 더 얻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평창의 승리는 국내는 물론 세계를 놀라게 했지만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서는 아직 할 일이 많다는 게 박 회장의 주장이다. 그는 우선 대회 운영능력부터 길러야 한다고 강조한다. 박 회장은 "우리는 국제적인 대규모 동계스포츠대회를 진행한 경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선수 육성 못지않게 종목별로 유능한 경기 운영요원을 양성해야 한다"며 "평창동계올림픽이 열리는 2018년까지 앞으로 7년간 대회 운영요원을 엄선해 철저한 트레이닝을 실시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내 기업들이 동계올림픽 유치에 많은 기여를 했듯이 성공적인 대회 운영을 위해서도 기업들의 도움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박 회장은 "우리나라는 88 서울올림픽 때보다 경제 규모가 훨씬 더 커지고 국제화됐지만 국내 기업 가운데 올림픽 공식 스폰서는 삼성전자가 유일하다"며 전자 외에 다른 업종에서도 한국 기업들의 참여가 늘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만약 평창동계올림픽의 공식 차량이 독일 자동차로 선정돼 강원도를 돌아다닌다면 우리 국민정서가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도 올림픽을 통해 제품을 알리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만큼 이를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강원도의 재정 문제가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의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평창 등 강원 지역이 올림픽특구로 지정되면 쉽게 해결될 것으로 본다"며 "특히 군인공제회가 투자 파이낸스 약속을 한데다 운영본부와 선수촌 용도로 지어지는 콘도와 아파트는 대회가 끝나면 분양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그는 대회 조직위원장과 조직위 구성에 대한 질문에는 결국 정부와 협의해 최종 결정될 사항이지만 아무래도 유치위원회 경험이 있는 인력들을 중심으로 조직위원회가 꾸려지는 게 효율성 측면에서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다만 최근 논란이 됐던 남북한 공동개최에 대해서는 "자크 로게 IOC 위원장도 절대 불가라고 단호히 말했듯 한마디로 '조크' 수준의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는 끝으로 "우리 국민들은 특유의 신바람정신을 토대로 어떤 고난과 역경도 슬기롭게 이겨내왔다"며 "국민 모두가 평창동계올림픽은 조직위원회의 올림픽도 아니고 강원도만의 올림픽도 아닌 대한민국의 올림픽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사상 최고의 동계올림픽으로 만들어나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