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기업도시' 논의 급류 탈듯

盧대통령 "상생경제 모델" 적극 지원 의사<br>입지ㆍ규제완화 등은 재계와 다소 시각차<br>삼성 6만명ㆍLG 5만6,000명 고용창출 계획

노무현 대통령은 기업도시를 상생의 경제를 추구하는 ‘뉴딜 프로젝트’ 중 하나로 추진하자고 전격 제안함으로써 최근 재계가 제기한 ‘기업도시’ 논의가 급류를 탈 전망이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기업도시 구상은 ▦수도권ㆍ충청권 배제 ▦노동ㆍ인권ㆍ환경 관련 규제완화 불가 등을 전제해 재계가 요구하는 기업도시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실제로 기업도시는 건설될 때까지 상당한 논란과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한편 이날 투자보고회에서 삼성ㆍLG 등 대기업들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투자확대를 거듭 약속하면서 정부에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해줄 것을 요구했다. ◇기업도시 설립 공론화= 이날 보고회에서는 최근 전경련이 발표한 ‘기업도시’ 구상이 집중 조명됐다. 특히 ‘투자동향 및 활성화 방안’이라는 주제발표를 한 이윤호 LG경제연구원 원장은 재계의 기업도시 구상을 ‘한국형 뉴딜 프로젝트’의 하나로 적극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역설했다. 이어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은 “기업도시 건설시 GDP 및 고용이 3년간 매년 1~2%씩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기업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강동석 건설교통부 장관은 “정부는 재계가 추진하고 있는 기업도시 구상을 적극 환영하며 필요할 경우 특별법 제정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전경련은 기업도시 계획을 세웠고 정부는 지방혁신도시 구상을 진행하고 있다”면서 재계의 ‘기업도시’구상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노 대통령은 “기업도시 건설지로 수도권과 충청권은 제외된다”고 못박고 인권ㆍ노동ㆍ환경 관련 규제도 풀지 않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기업도시의 주체인 기업들의 속내는 수도권ㆍ충청권에 기업도시 건설을 희망하는 것이어서 향후 기업도시가 가시화할 때까지 많은 논란과 진통이 예상된다. ◇대기업 '투자 보따리' 두툼= 삼성은 재계의 ‘맏형’으로서 올해 19조3,000억원을 포함, 2006년까지 3년간 총 70조원의 투자를 계획하고 있으며 이중 시설투자 49조원, 연구개발 투자는 21조원에 달할 전망이라고 이날 밝혔다. 삼성은 ▦메모리 부문인 화성단지에 3년간 19조원을 투자하고 ▦비메모리 부문인 기흥단지에는 12인치 비메모리 공장 신규 가동 3조원을 포함해 3년간 6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 충남 탕정 단지에는 2010년까지 20조원 이상을 투입, 첨단 TFT-LCD산업단지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2010년까지 약 2만명의 직접고용을 창출할 계획이다. LG는 편광판, 2차 전지, LCD 및 PDP 등 핵심소재 부품과 디지털TV 및 복합이동단말기 등 첨단 디지털 제품을 중심으로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R&D에 총 30조원을 투자하고 연구인력도 현재의 1만4,000명 수준에서 3만명 수준까지 늘릴 계획이다. SK는 2007년까지 지난 3년간의 평균 투자실적보다 약 20% 이상 증가한 총 20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SK는 특히 2조원이 투입되는 위성DMB사업을 통해 총 19만명의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현대차는 이날 보고하지 않았지만 올해 총 5조9,000억원, 2007년까지 22조원의 국내투자를 계획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R&D 분야의 이공계 고급인력을 포함해 올해 6,500명을 신규 채용하는 등 매년 6,000명 이상의 신규채용 인원을 유지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