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 5월 4일] <1685> 마닐라만 전투


1898년 5월1일 오전5시15분, 필리핀 마닐라만. 스페인군의 해안포대와 함정의 대포가 불을 뿜었다. 상대는 미국 해군의 아시아 분견대. 스페인의 선공(先攻)은 성과가 없었다. 사정거리가 짧았던 탓이다. 반격에 나선 미군은 스페인 함대를 철저하게 부쉈다. 7시45분에는 전선에서 일단 철수, 장병들에게 아침을 먹이고 탄약 재고를 점검할 만큼 여유만만했다. 10시40분부터 전투를 재개한 미 해군은 결국 낮12시40분 스페인의 항복을 받아냈다. 미군의 완벽한 승리였다. 전사 161명, 부상 210명의 인명피해를 입은 스페인군과 대조적으로 미군은 사망 1명에 부상 9명에 그쳤다. 사망자 1명의 사인도 심장마비였다. 함정 피해는 스페인 순양함 7척, 수송함 1척이 침몰한 반면 미군은 순양함 1척이 경미하게 파손됐을 뿐이다. 마닐라만 승전 소식에 미국은 열광의 도가니에 빠졌다. 미국 분견함대 사령관인 존 듀이 준제독은 정식 제독으로 승진하고 예편한 뒤에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나설 만큼 국가적 영웅으로 떠올랐다. 들뜬 분위기 속에 전쟁에 의문을 제기하던 목소리도 쏙 들어갔다. 스페인 식민지인 쿠바 아바나항에 정박돼 있던 의문의 폭발로 승무원 266명의 목숨과 함께 가라앉아 미국-스페인 간 전쟁을 촉발한 미군 군함 메인호 폭발사건도 영구미제로 남았다. 마닐라만을 장악한 미 해군은 스페인뿐 아니라 필리핀에 군침을 흘리던 독일 세력까지 뿌리쳐 유럽 열강으로부터 확실한 강대국으로 인정 받았다. 미군의 승리에는 무선통신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는 점이 알려지며 각국은 통신 인프라 투자를 늘렸다. 조선도 영향을 받았다. 미국과 일본이 필리핀과 조선을 나눠먹은 태프트-가쓰라 밀약도 마닐라만 전투로 시작된 미국의 필리핀 식민지화의 결과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