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자원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경우 오는 2016년까지 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원유 대체 등에 따른 경제ㆍ환경적 효과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연간 1조1,000억원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26일 기획재정부가 운영하는 ‘국가재정운용계획: 환경분야 작업반’이 가진 2009~2013년 재정운용계획 환경 분야 토론회에 따르면 지방자치단체 등의 폐자원 에너지화 사업이 제대로 추진될 경우 2016년까지 이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연성 및 유기성 폐기물의 에너지화, 소각하고 남은 열 회수, 매립가스 회수 등의 시설을 건설하는 데 2016년까지 전국에서 3만9,000여개의 일자리가 만들어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또 이 같은 시설을 운영하는 일자리는 2011년까지는 475개 수준에 그치겠지만 2017년이 되면 전국 1만4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적 효과 측면에서는 생활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을 에너지원으로 쓰면서 연간 폐기물 처리비용 5,941억원을 절감하고 ▲원유 대체효과 4,346억원 ▲온실가스 감축효과 1,045억원 등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장기복 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위원은 “폐기물 에너지화 사업은 수요처만 확보될 경우 소각 등 기존 폐기물 처리방법보다 경제적으로 유리한 대안”이라고 강조하며 “정부가 시장 형성 및 공급기반 확충을 위한 지원기능을 담당하고 지자체와 민간 부문이 사업을 발굴, 추진하는 역할을 맡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를 위해 전국을 8대권역으로 나눠 각 권역별로 폐기물 에너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각 권역에 ‘환경에너지타운’을 조성해 폐기물 에너지 수급을 위한 거점기지로 만들어야 한다는 건의도 나왔다.
김승래 조세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환경 분야 재정투자 방향에 대해 “깨끗한 물 공급을 위해 농어촌 취약지역에 대한 상하수도 시설 및 4대강 수질개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폐자원 에너지화 등 저탄소 녹색성장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