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과학자 연구논문 수준이하

국내과학자 연구논문 수준이하 국내 과학자들이 집필한 연구논문의 질적수준이 세계 평균에 크게 못 미치고 있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미국 과학정보연구소(ISI)는 29일 "지난 95년 이후 ISI의 논문 인용색인(SCI)에 기록된 4만108건의 한국논문의 발표비율 및 인용도 등을 분석한 결과 한국논문의 인용건수는 세계 평균치를 크게 밑돌았다"고 밝혔다. ISI는 최근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isinet.com)에이를 공개했다. ISI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는 그나마 재료학(Materials Science) 계열의 논문이 3.26%를 차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논문의 질적수준을 나타내는 인용건수(세계평균 100)는 농학(Agricultural Science)이 79%로 20개 분야 중 가장 높았다. 그러나 사회과학 분야의 논문은 0.27%로 매우 낮은 비율을 보였다. ISI가 분석한 논문비율과 인용률은 ▦재료학(3.26, 76%) ▦공학(2.53, 59%) ▦물리학(2.51, 56%) ▦컴퓨터과학(2.35, 56%) ▦화학(1.78, 60%) ▦약학(1.63, 41%) ▦미생물학(1.17, 62%) ▦수학(1.11, 56%) ▦생물ㆍ생화학(1.03, 40%) ▦경제학(0.81,62%) ▦천체물리학(0.62, 70%) ▦신경과학(0.44, 55%) ▦동식물학(0.43, 67%)▦분자생물학(0.42, 29%) ▦사회과학(0.27, 40%) 등으로 나타났다. ISI는 "한국의 논문인용 건수가 세계 평균치 이하인 데도 불구하고 재료학분야의 논문이 1편당 1.39차례 인용됨으로써 세계평균 1.84차례에 근접하는 등 재료학과 농학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면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입력시간 2000/10/29 17:36 ◀ 이전화면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