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기고] 광해군을 다시 보자


광해군을 주인공으로 한 영화가 인기리에 상영되고 있다. 인조반정(仁祖反正)으로 쫓겨난 조선왕조 15대 임금 광해군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쫓겨난 10대 임금 연산군과 함께 조(祖) 또는 종(宗)으로 끝나는 왕호를 갖지 못했다.

조선시대 두 차례 있었던 반정은 요즈음 말로 '성공한 쿠데타'다. 반정은 '춘추(春秋)'에서 말한 발난세반제정(撥亂世反諸政), 즉 '어지러운 세상을 다스려 바른 세상으로 돌아간다'는 구절에서 비롯된 말이다. 그렇다면 중종반정과 인조반정이 참으로 못된 임금을 갈아치우고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아 더 나은 나라를 만들었을까. 방탕하고 포악했던 연산군이 쫓겨난 것은 그렇다 치더라도 인조반정은 이름만 반정이지 실상은 서인(西人)들의 쿠데타에 불과했다. 광해군 대신 왕이 된 인조가 정치를 바로잡고 더 나은 나라를 만들었다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인조반정은 당쟁이자 권력투쟁이었고 정권을 장악한 서인과 인조는 친명반청(親明反淸)이란 시대착오적 외교정책으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을 자초해 씻을 수 없는 항복의 치욕을 당했다.


폭군만도 못했던 인조반정 세력

권좌에서 밀려난 광해군은 폭군이요 패륜아로 매도 당했지만 역사적 평가는 시대상황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광해군이 자신의 왕권안보를 위해 형제들을 죽이고 계모인 인목대비를 유폐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의 외교적 능력은 아버지인 선조(宣祖)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탁월했다.

광해군이 왕위에 오른 것은 기적 같은 일이었다. 그는 왕비가 낳은 적자(嫡子)가 아니라 후궁이 낳은 서자였고 장남이 아닌 둘째였다. 임진왜란이 터지자 선조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해 분조(分朝)를 이끌게 하고 자신은 의주로 피란 갔다. 광해군은 백성들을 위로하고 제도를 개선하는 한편 군사를 모아 왜군과 대항하는 등 국난극복을 위해 눈부신 활약을 했다. 그런데 왜란이 끝난 뒤 선조가 광해군보다 9세 연하인 인목왕후에게 새장가를 가 적장자(嫡長子)인 영창대군을 얻자 조정은 광해군파와 영창대군파로 갈려 싸웠다.


세자로 책봉된 지 15년 만에, 그야말로 천신만고 끝에 왕위에 오른 광해군은 도탄에 빠진 민생을 안정시키고 무너진 국가기강을 바로잡고자 노력했다. 또한 당쟁의 폐해를 치유하고 유능한 인재를 중용해 내정 안정과 국방력 강화에 힘썼다. 왜구의 재침을 막기 위해 일본과 외교관계도 수립했다. 뿐만 아니라 '동의보감'등 민생과 윤리도덕에 관한 책들을 찍어내고 전란으로 불타버린 사서들을 중국에 가서 구해오게 하는 등 문화사업에도 노력했다.

관련기사



그러나 뭐니 뭐니 해도 광해군의 으뜸가는 치적은 명청 교체기에 두 나라 사이에서 절묘한 줄타기 외교를 구사하는 한편 국방력을 강화해 나라가 또다시 전란에 휩쓸리는 것을 막았다는 사실이다. 그는 당시 쇠퇴해가는 명과 신흥 강자 후금(淸)의 사정을 정확히 꿰뚫고 이에 적절히 대처한 외교의 달인이었다. 명나라가 후금 공격을 위해 원병을 보내라고 강요하자 광해군은 도원수 강홍립에게 1만명을 줘 보내면서 형세를 봐 불리하면 후금에 항복하라는 밀지를 내렸으며 결과적으로 더 많은 희생을 줄일 수 있었다.

우리에겐 외교의 달인이 필요하다

광해군은 이처럼 인진왜란 뒤 민생을 구제하고 국가기강을 바로잡으며 부국강병을 통해 국가안보와 민족적 자존심을 지키려 노력했지만 재위 15년째 되던 1623년 인조반정으로 왕위에서 쫓겨났다. 서인들이 그를 쫓아낸 이유는 대국(明)에 죄를 짓고 형제를 죽이고, 경복궁과 창덕궁 재건으로 재정을 고갈시켰다는 것 등이었다. 그런데 이런 이유로 광해군을 내쫓고 왕위에 오른 인조는 시대착오적인 친명반청 정책으로 병자호란을 자초, 숱한 백성을 참상으로 몰아넣었으니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말이 어찌 허사에 불과하다고 하랴.

광해군이 비록 내치의 뒷받침이 없어 부국강병 실현에는 실패했지만 국제정세를 정확히 분석하고 적절히 대처했던 외교적 치적은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 대선을 앞둔 우리 정치권은 중국ㆍ일본의 역사왜곡과 우경화, 미국ㆍ일본의 중국 견제와 중국ㆍ일본 영유권 분쟁을 방관한 채 2007년 노무현 대통령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에게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을 했는지를 놓고 연일 공방을 벌이고 있다. 대선 후보들은 광해군이 대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추진했던 부국강병과 실리외교에서 급변하는 한반도 주변정세를 헤쳐갈 교훈을 얻어야 하는 것 아닐까.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