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도 집값 양극화 심화

북부, 개발호재 불구 가격 정체 미분양도 속출<br>남부는 판교 영향으로 매매가 급등 지역 많아


수도권도 집값 양극화 심화 북부, 개발호재 불구 가격 정체 미분양도 속출남부는 판교 영향으로 매매가 급등 지역 많아 이혜진 기자 hasim@sed.co.kr 서울 강남ㆍ북 못 지 않게 경기 남ㆍ북부 부동산시장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북부지역은 일산-의정부간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 등 교통 환경이 개선되고 파주 LCD단지, 파주 신도시 건설 등 각종 개발 호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올들어 아파트 값은 거의 오르지 않았다. 반면 경기 남부지역은 판교신도시 개발 영향이 확산되면서 집값이 급등한 곳이 많다. 분양시장도 경기 남부지역에서 공급되는 아파트들은 성공적으로 분양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북부는 미분양이 속출하는 등 상당히 침체돼 있다. 26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과 인천을 제외한 경기도 30개 시ㆍ군과 5개 신도시의 올 상반기 집값 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한강 남쪽에 있는 20개 시ㆍ군과 4개 신도시는 평균 12.95% 오른 반면 북부는 3.12% 오르는데 그쳤다. 수도권 북부에서는 미군기지가 이전하는 포천(-1.50%), 의정부(-0.58%), 동두천(0.19%) 등이 약세였고 가평(-1.84%), 연천(-0.50%), 구리(-0.31%) 등도 내림세를 기록했다. 그나마 분당과 평촌의 집값 급등세로 상대적으로 저평가됐다는 인식이 퍼진 일산(10.87%)과 각종 개발호재가 있는 파주(5.76%)만 올랐다. 반면 남부는 분당(27.71%), 용인(24.50%), 과천(21.09%), 평촌(20.15%), 의왕(14.32%), 산본(11.87%) 등 6곳이 판교신도시와 재건축 추진 영향으로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내린 곳은 신도시의 면적 축소 여파가 미치고 있는 김포(-0.95%)와 최근 공급이 많았던 오산(-1.25%), 평택(-1.25%) 등 3곳 뿐이다. 신규 분양시장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 주 SK건설이 평택 소사동에서 내놓은 ‘평택 SK뷰’는 1ㆍ2순위에서 750가구가 모두 마감됐고 이 달 초 수원 정자동에서 벽산건설이 분양한 ‘벽산 블루밍’ 도 3순위까지 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또한 GS건설이 다음주 청약을 접수하는 ‘오산자이’(1,060가구)의 모델하우스에도 방문객이 넘치면서 성공을 예고하고 있다. 그러나 경기 북부에서 분양하는 아파트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 달 초 두산산업개발이 남양주 화도읍에서 분양한 ‘두산위브’와 금강주택이 남양주 장현 4지구에서 내놓은 ‘금강센테리움’은 모두 3순위에서 미달됐다. 부동산114 관계자는 “경기 북부지역에도 각종 호재가 있긴 하지만 남부쪽의 판교신도시에 관심이 몰린 여파로 아파트값 역시 더욱 벌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입력시간 : 2005/06/26 16:5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