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김태현의 벙커샷 레슨](2) 벙커에서는 폴로스루를 끝까지



[서울경제 골프매거진] 벙커샷은 볼의 직접 타격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유일한 샷이다. 볼 뒤쪽의 모래를 쳐서 그 폭발력에 의해 볼이 떠오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볼을 탈출시키기 위해 모래를 너무 깊이 파고들 필요는 없다. KLPGA 투어 프로 출신으로 세종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학생들을 지도하는 김태현은 “볼 아래쪽으로 2.5cm 정도 깊이가 이상적이며 이를 위해 볼의 5~7cm 뒤쪽을 치는 것이 적당하다”고 설명한다. 적당한 모래 디봇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폐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볼이 지폐 위에 올려져있다고 가정하고 지폐의 가장자리에서부터 파고든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손바닥 크기로 상상하는 것도 도움이 되는데 손바닥 중앙에 볼이 놓여있다고 가정하고 손바닥 크기만큼의 디봇을 퍼낸다고 상상한다. 또한 벙커샷에서 중요한 것은 폴로스루를 끝까지 하는 것이다. 아마추어 중에는 정상적인 백스윙을 구사하고 폴로스루는 짧게 하는 경우가 있다. 모래를 폭파시키기 위해 찍어치는 스윙을 하는 경우에도 폴로스루는 짧아진다. 이렇게 되면 볼은 벙커를 빠져 나오지 못한다. 김태현은 “벙커에서도 폴로스루를 끝까지 한다는 생각으로 스윙하는 것이 성공적으로 탈출하는 요령”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