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사외이사, 넷 중 하나는 무늬만 사외이사

263개 상장사, 사외이사 798명 분석결과… 독립성 강화 필요

사외이사 네 명 중 한 명은 회사와 이해관계가 있는 무늬만 사외이사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따라 사외이사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자격요건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7일 경제개혁연구소가 263개 상장사, 798명의 사외이사와 소속 회사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해관계가 있는 사외이사 비중이 전체의 26.19%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사외이사가 ▦계열사 임직원 출신(63명)이거나 ▦정부ㆍ채권단 임직원(16명) ▦전략적 제휴ㆍ거래처 출신(14명) 등 직접적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가 112명으로 전체의 14.0%를 차지했고, 간접적 이해관계인 학연관계는 97명으로 12.2%를 차지했다. 기업별로는 두산이 2006년 이후 줄곧 이해관계가 있는 사외이사를 선임했고, LSㆍ한화ㆍ하이트맥주는 계열사나 회사의 전현직 임직원을 가장 많이 사외이사로 선임했다. 금호아시아나와 한국타이어그룹은 학연관계에 있는 사외이사가 가장 많게 나타났다. 경제개혁연구소는 "사외이사들의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격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며 "회사와 이해관계가 있는 사외이사가 선임되지 않도록 퇴직 후 필요 경과기간을 2년에서 5년으로 늘리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고 소수주주가 사외이사를 선임할 수 있는 길도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