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일본, 물가연동국채 발행 검토

디플레 탈출 위해 5년 만에

디플레이션 탈출을 위해 대대적인 경기부양책의 시동을 거는 일본의 아베 신조 정권이 5년 만에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7일 일본 재무성이 2013회계연도(2013년 4월∼2014년 3월)에 물가연동국채를 재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시장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이르면 이달 중 국채낙찰액이 많은 국내외 25개 금융회사들을 소집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물가연동국채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연동해 원금이 증감하는 국채다.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원리금이 늘어나 자산가치 하락을 막을 수 있어 투자 수요가 늘어나는 반면 디플레이션 국면에서는 원금이 줄어드는 투자 리스크를 안게 된다. 일본은 지난 2004년 3월 물가연동국채를 발행하기 시작해 2007회계연도에는 전체 국채발행의 3%에 달하는 3조엔으로 발행규모를 늘렸으나 2008년 10월 이후 디플레이션 장기화로 발행을 중단한 상태다.


하지만 재무성은 아베 총리가 물가상승률 2% 목표를 설정하고 대규모 금융완화를 예고한 데 힘입어 해외 투자가들 사이에서 일본의 물가상승 기대와 함께 물가연동국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아베 총리가 약속한 경기부양책을 펴기 위해서는 대규모 재정지출을 뒷받침할 국채발행이 불가피한 만큼 해외 투자가들의 수요에 부응하는 국채발행은 정부의 안정적 자금조달에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 재무성의 입장이다.

관련기사



신문은 국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아베 총리의 경제정책을 반신반의하는 목소리가 높지만 해외에서는 완화정책 효과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해외 투자세력은 지난 6주 동안 1조8,000억엔어치의 일본 주식을 순매수하며 최근 일본증시 급등세를 주도했다.

재무성은 연간 2조엔 규모의 발행을 검토하고 있으며 투자자의 원금손실 리스크를 불식시키기 위해 새로 선보이는 물가연동국채를 원금보장형으로 발행할 방침이라고 신문은 덧붙였다.

이종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