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택보유 소비증가와 직결되지는 않아"

주택 보유가 가구의 소비를 뒷받침해주는 유동성완화와 반드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분석이 제시됐다. 허석균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연구위원은 27일 `횡단면 자료를 이용한 가구소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통해 이처럼 분석했다. 보고서는 지난 2000년 가구소비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해 전체 보유자산에 대해가구 소비의 탄력성을 나타내는 추정계수를 측정한 결과, 이 계수는 0.206으로 자산이 1% 증가할때 소비는 약 0.21%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주거 유형별 추정계수는 전세 0.26, 보증부월세 0.25, 자가 0.22 등 순으로 탄력치가 높게 나와 자가 보유자가 오히려 무주택자보다 자산 증가에 따른 소비의 탄력도가 낮았다. 보유자산 대신 연간 소득을 변수로 사용해 소비의 탄력성을 측정했을 때에는 무조건부 월세, 자가, 전세, 조건부 월세 등 순으로 탄력치가 높았다. 허석균 부연구위원은 "사회 통념과는 달리 주택 보유가 가구의 유동성을 완화시켜 주지 못하는 것은 국내 장기주택 금융시장이 성숙하지 못한 환경과도 관련이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보고서는 1996년과 2000년 자료를 비교할 때 외환위기 이후 소득 양극화가확대된 가운데 소비자금융의 확대 등 유동성 완화가 소비의 불균등 정도를 완화하는데 기여했으나 가구주가 청장년층인 가구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분석했다. (서울=연합뉴스) 경수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