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황금주파수 결국 SKT 품으로

시초가 2배넘는 9,950억에<br>KT, 과열 우려 입찰 중단 "클라우드 컴퓨팅에 투자"

국내에서 처음으로 경매를 치르며 과열논쟁을 일으켰던 황금주파수 1.8㎓ 대역이 결국 SK텔레콤에 돌아갔다. 경매시초가(4,450억원)의 2배가 넘는 9,950억원으로 낙찰돼 가까스로 1조원 문턱을 넘지는 않았다. 29일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에서 SK텔레콤이 부른 직전 입찰가격이 1조원 턱밑까지 오른 것에 부담을 느낀 KT가 경매 9일 만에 패를 접으면서 승패가 갈렸다. KT는 1.8㎓를 포기하는 대신 같이 경매에 나온 800㎒ 대역을 최저경쟁가인 2,610억원에 낙찰 받았다. 이에 따라 이번 경매로 나온 주파수들은 2.1㎓(대역폭 20㎒)에 단독 입찰한 LG유플러스가, 1.8㎓(20㎒)와 800㎒(10㎒) 대역은 각각 SK텔레콤과 KT가 차지했다. SK텔레콤은 차세대 4G서비스인 롱텀에볼루션(LTE)을 위한 황금주파수가 절실했던 만큼 막판에 입찰호가를 크게 높이는 전략을 구사해 승기를 잡았다. 이에 반해 KT는 입찰가가 1조원을 넘는 데 따른 부담과 주파수에 올인하는 대신 남는 재원을 미래 성장사업으로 전환하자는 전략 수정이 입찰포기를 앞당겼다는 분석이다. 이석채 KT 회장은 이날 입찰 관련 간담회에서 "내부적으로 1.8㎓ 주파수의 가치를 1조5,000억원 정도로 추정했지만 과열경쟁에 따른 국민의 우려를 감안해 중단했다"며 "주파수보다 클라우드 컴퓨팅 같은 미래 성장사업과 글로벌 IT기업들과의 협력에 돈을 쓸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주파수 확보로 LTE서비스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했지만 주파수 낙찰에만 1조원에 육박하는 비용을 치러 앞으로 휴대폰 요금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논란의 중심에 설 가능성이 높아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