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아마들이 시도해볼 만한 '파워 증대 방법'

백스윙 때 엉덩이 함께 돌리면 어깨 회전 커져

무리하게 샤프트가 평행을 이루게 하려다 보면 스윙아크가 오히려 작아지고 양손이 스윙면을 벗어나게 된다. 임팩트 때에도 팔을 똑바로 펴줄 수 없어 거리가 줄어든다.

우리가 아는 스윙 이론은 투어 프로 선수들의 수준에 맞춰진 것들이 많다. 최정상급 프로 선수들의 공통점에서 이론을 도출하는 경향도 있다. 그럴 경우 기초 체력이나 유연성이 그들과 같지 않은 아마추어들은 혼란이 커질 수도 있다. 서울경제 골프매거진 최신호는 미국 100대 교습가들에 의뢰, ‘골프스윙에 대한 새로운 연구’ 특집을 마련했다. 기존 이론을 따라도 샷 거리가 쉽사리 늘지 않는 골퍼들이 시도해볼 만한 거리 증대 방법을 소개한다. ◇엉덩이를 틀어줘라= 백스윙 때 에너지를 축적하는 방법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이론은 이른바 ‘X 팩터’다. 백스윙 때 어깨와 엉덩이(골반) 사이의 각도를 더 크게 해주기 위해 엉덩이 회전을 가능한 한 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새 이론은 백스윙 때 골반을 억지로 잡아두지 말고 어깨와 함께 틀어주라고 주장한다. 무엇보다 동작 자체가 어깨 회전을 크게 하기에 쉬우며 어깨 회전이 바로 파워의 원천이라는 것이다. X 팩터가 어깨와 엉덩이 간 꼬임의 정도에 주목했다면 이 주장은 어깨 회전 자체의 증대에 중점을 뒀다고 볼 수 있다. 백스윙 때 엉덩이를 틀어주지 않으면 다운스윙 때 헤드페이스를 제때 직각으로 되돌리기 힘들다는 부작용도 있다. 엉덩이를 먼저 열어주면서 하체 리드의 스윙을 하면 손과 클럽헤드가 쫓아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샤프트 평행’에 집착하지 마라= 프로골퍼들의 스윙을 보면 백스윙 톱 단계 때 샤프트가 지면과 평행을 이룬다. 존 댈리 같은 장타자는 심지어 평행을 훨씬 지나친다. 일반 골퍼들은 백스윙을 평행 상태까지 가져가려 할 필요가 없다. 통상 아마추어는 프로에 비해 어깨 회전이 7~10도 작기 때문에 어깨 회전이 멈춘 뒤 샤프트를 평행으로 맞추려고 양손을 계속 움직이는 것은 역효과를 부른다. 너무 높이 올라간 양손을 다운스윙 전환 때 스윙면 상에 다시 올려놓아야 하는데 이렇게 하려면 손목을 일찍 풀 수밖에 없어 미리 파워가 빠져 나간다. 유연성이 떨어지는 아마추어에게는 어깨만 최대한 회전시킨 뒤 양손이 스윙면 위에 놓여 있으면서 샤프트가 평행에 미치지 못한 상태가 이상적인 톱 자세다. ◇티를 좀더 낮게 꽂아라= 460cc 대형 헤드가 나온 뒤 티를 높게 꽂는 프로들이 나타났다. 스위트스폿보다 약간 위쪽에 볼을 맞히면 백스핀 양이 줄어들어 더 멀리 날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마추어들은 볼이 지면에서 멀리 있을수록 중심 타격이 어렵다. 헤드스피드가 느리기 때문에 페이스의 중심을 벗어난 곳으로 맞히면 볼의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하고 방향도 더 크게 빗나간다. 최소한 볼의 절반 이상이 페이스의 중심 부분에 놓이도록 티를 꽂아야 한다. 이 상태에서 헤드가 지면을 스치듯 스윙해주면 볼이 페이스 중심에 맞아 높게 멀리 날아간다.

관련기사



박민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