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금 늘었는데 빚이나 갚자" 기업들 회사채 줄상환

[금리인상 파장] 신용등급 A 이상 기업<br>상반기 만기도래 회사채<br>90건중 39건 차환 안해


최근 기업들의 현금보유가 크게 늘면서 회사채 상환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금융통화위원회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으로 회사채 발행 비용이 늘어나는 등 채권시장을 둘러싼 조건이 좋지 않은데다 실적호전으로 자금사정도 나아지고 있어 기업들의 빚 갚기(채권상환)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금융 관련 및 공기업을 제외한 신용등급 A 이상의 기업 가운데 올해 상반기까지 만기 도래한 회사채 90건 중 재발행(차환)을 하지 않은 것은 39곳으로 43.3%에 달했다. 지난 6월에는 14곳 중 절반인 7곳이 상환에 나서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회사채 발행건수의 70% 이상이 차환발행 수요라는 점을 감안하면 상환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이다. 상환 금액으로 보면 올 1월 A등급 회사채의 만기도래액 대비 상환 비율은 13%에 불과했지만 3월 44%로 훌쩍 뛰었고 지난달에도 34.7%에 달했다. 이에 따라 상반기까지 만기 도래한 회사채 8조1,103억원 중 기업들이 직접 갚은 금액은 2조5,553억원으로 상환비율이 31.5%를 기록했다. 기업별로 보면 여천NCC가 올 들어 1월(800억원)과 5월(400억원)에 만기가 된 회사채 1,200억원을 전액 상환했고 LG텔레콤도 1월(400억원)과 지난달(1,000억원) 돌아온 3년 만기 회사채를 차환 발행하지 않았다. 이외에도 SK텔레콤을 비롯해 SK케미칼ㆍSKCㆍSK건설ㆍSK네트웍스 등 SK그룹 계열사들과 효성ㆍOCI 등도 같은 움직임을 보였다. 이처럼 기업들이 회사채를 줄줄이 상환하고 있는 것은 실적호전으로 현금보유액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증시에 상장된 1,522개 기업의 현금보유액은 전년보다 19.5% 증가한 96조9,782억원에 달했다. 여기에 지난 3~4월 저금리를 이용해 회사채를 발행하는 등 미리 자금을 확보하면서 현금 비율은 더욱 높아졌고 금리인상에 따른 이자부담까지 가세하면서 보유자금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자는 인식이 강해졌다는 게 증권사 채권 담당자들의 평가다. 증권사의 한 회사채 담당 관계자는 "기업들의 현금 보유액이 늘어나면서 '적절한 수준'의 현금을 유지하는 게 중요해졌다"며 "현대차 등과 같은 기업들은 최근 보유 현금을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통화위원회의 전격적인 금리인상에 따른 시장환경 악화도 기업의 빚 갚기를 부추길 것으로 보인다. 금리상승으로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에 따른 이자비용이 증가하는 반면 투자자들은 금리가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투자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6월 이후 최근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이 부진한 이유가 이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다른 증권사 채권 담당자도 "기준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과 자금수요의 부재로 차환발행이 이전에 비해 다소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당분간 기업들의 실적호전이 지속될 것으로 보여 자금수요가 더욱 줄어들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