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임금부담 가중 제조업 `허덕`

1분기 제조업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크게 둔화된 것은 국내 제조업의 위기가 현실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저임금을 앞세운 중국의 거센 추격에 위협받고 있는 상황에서 생산성마저 떨어진다면 국내 제조업의 설 자리는 더 좁아질 수 밖에 없다. 생산성 저하 현상이 지속된다면 자칫 제조업의 해외이전 가속화로 국내 산업의 공동화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가파른 임금 상승이 생산성하락 의 주요인= 제조업 생산성 둔화는 경기가 부진한 탓도 있지만 생산성 향상을 뛰어넘는 임금 상승세가 주된 요인이다. 생산성 증가와는 무관하게 매년 임금이 두자리수를 오르내리는 고공상승행진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생산성본부 조사에 따르면 지난 99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제조업체의 시간당 실질임금 상승률은 연평균 7.4%에 달해 같은 기간의 연평균 노동생산성 증가율 5.5%를 웃돌았다. 이에 따라 생산성 증가율과 임금상승률간의 상관관계는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최근 5년간 생산성 증가율과 임금상승률간의 상관계수는 0.34로 지난 93년부터 96년까지의 상관계수(0.5)보다 크게 떨어졌다. 상관계수가 1일 경우 생산성이 올라가면 반드시 임금이 오른다는 뜻이다. 더욱 큰 문제는 올들어 임금과 근로조건 개선에 대한 근로자들의 요구가 더욱 거세지고 있어 임금상승률이 생산성을 뛰어넘는 현상이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금융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올 하반기 경제전망보고서에서 “내수시장 악화 등으로 경제침체의 골이 깊어지고 있지만 임금상승률은 올 상반기에 10.8%에 이어 하반기에도 8.2%를 기록, 연평균 9.5%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합리적인 임금결정 노력없으면 기업 해외탈출 가속=임금상승률을 생산성 증가가 따라가지 못할 경우 기업의 중장기적인 수익성은 크게 저하된다. 최근 국내 기업은 물론 국내진출 외국기업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생산성 향상이 없이 비용만 많이 드니 기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일부 기업은 노동시장 경직성이 나아지지 않으면 해외로 나가겠다는 경고도 서슴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 국내 제조업은 그렇지 않아도 중국 등 후발국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최근 차세대 성장산업 국제회의 참석차 방한한 국제석학인 기 소르망 프랑스 기소르망사 사장은 “ 현재와 같은 구조라면 한국의 조선, 자동차 등 제조업은 조만간 위기에 봉착할 것이다. 망하는 기업도 나올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대비해야 한다”고 경고할 정도다. 중국 등이 저임금을 기반으로 빠르게 따라오고 있어 기존의 성장모델로는 더 이상 버티기 힘들다고 그는 진단했다. 이같은 위기를 탈출하려면 생산성 개선을 통한 경쟁력을 키우는 게 급선무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경쟁력을 결정하는 가장 큰 요소는 가격 결정력이고 이는 인건비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경쟁력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임금인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임석훈기자 shim@sed.co.kr>

관련기사



임석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