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은 분석] 일본제품 국내시장 급속 잠식

4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98년말 해제된 32개 수입선다변화품목의 경우 작년1∼11월 대일수입액이 2억700만달러를 기록, 전년 같은 기간보다 121.7%나 증가했다.특히 소비재 수입은 999%에 달하는 큰 폭의 증가를 나타냈으며 원자재 및 자본재도 각각 62.9%와 98.5% 증가율을 보였다. 이에 따라 이들 품목의 총수입중 대일수입 비중은 98년 24.7%에서 34.8%로 높아졌다. 품목별로 보면 캠코더는 전년동기보다 2천554% 증가한 1천980만달러에 달해 캠코더 수입시장의 94%를 점령했다. 이밖에 자기제 그릇(1천286%), 식탁 및 부엌용품(3천610%), 아날로그 손목시계(1천803%) 등도 높은 수입증가율을 기록했다. 또 99년 6월말 해제된 16개 수입선다변화품목의 작년 1∼11월 대일수입액은 1억9천60만달러에 달해 전년 동기보다 70.4% 증가했다. 소비재는 2천905%의 증가율을 기록했고 원자재와 자본재는 각각 154.5%와 12.5%늘어났다. 품목별로는 98년 2천달러에 불과했던 전기밥솥 수입액이 250만달러로 늘어났고VCR도 100만달러에서 300만달러로, 25인치이상 컬러TV는 50만달러에서 80만달러로각각 증가했다. 또한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4만달러에서 5천160만달러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나타냈고 3천㏄초과 세단형 승용차는 1만달러에서 50만달러로 늘어났다. 수입선다변화제도란 심각한 무역역조를 겪고 있는 국가로부터 수입을 제한하기위해 지난 77년 도입된 제도로 국제통화기금(IMF)과의 약속에 따라 작년 6월말 16개품목 해제를 끝으로 전면 폐지됐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