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하반기 성장률 4%로 하락"

"유가.원고 등으로 경기상승 사이클 단명할 듯"<br>올해 성장률 4.8%는 유지..경상수지 흑자 23억달러

삼성경제연구소는 고유가와 원화절상 등으로 올해 하반기 경제 성장률이 4% 수준에 머물며 경기 회복세가 뚜렷하게 약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홍순영 삼성경제연구소 상무(경제동향실장)는 2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2006년 하반기 경제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한국 경제는 작년 1.4분기를 저점으로 올해 상반기까지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나 올해 2.4분기 이후 원화 강세와 고유가 등의 리스크가 커져 하반기 성장 모멘텀 약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연구소는 올해 3.4분기와 4.4분기, 하반기 전체 성장률(작년동기대비)을 각각 4.5%, 3.7%, 4.0%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 2월 전망 당시의 5.1%, 4.0%, 4.5%에 비해 0.3~0.6%포인트 낮아진 것이다. 또 고유가에 따른 교역조건 악화가 소득의 실질구매력 축소로 이어질 것이라며기존 4.9%였던 올해 민간소비 증가율 전망치 역시 4.3%로 하향조정했다. 환율과 유가 부담에 수출 증가율은 한 자릿수인 9.1%로 낮아지는 반면 고유가로수입은 13.9% 늘어 올해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23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추정됐다. 그러나 연구소는 예상치 5%를 크게 웃돈 지난 1.4분기 성장률(6.2%)을 반영, 올해 상반기 성장률 전망치를 5.7%로 0.6%포인트 높이고 올해 전체 성장률 예상치 4.8%를 유지했다. 올해 두바이유 기준 유가와 원.달러 평균 환율 전망치도 각각 58~68달러, 960원을 고수했다. 소비자 물가상승률의 경우 국제유가 상승 영향을 환율 하락이 상쇄, 2.8% 수준에서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홍 상무는 "성장률이 지난 1.4분기 6.2%를 고점으로 4.4분기에는 3% 후반대까지떨어질 것"이라며 "고유가와 원고 등으로 내수와 수출이 동시에 둔화되면서 작년 1. 4분기를 저점으로 상승세를 이어온 경기상승 국면이 단명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따라서 하반기 거시경제 정책의 초점을 경기 회복세 둔화를 막고 고유가와 환율등 위험요인을 줄이는데 맞춰야한다고 그는 조언했다. 홍 상무는 경기 회복세 약화가 우려되는 하반기에 재정지출을 확대하고, 금리정책도 과잉 유동성 흡수를 위해 저금리 기조에서 벗어나되 급격한 금리인상은 자제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중소 수출기업에 대한 환위험 관리 지원과 비축유 확보, 유류세 인하 검토 등도유가 및 환율 위험 대비책으로 제시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