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은행, 기업구조조정 추진 상황' 현장 점검

금융감독원이 오는 11월 은행들의 기업 구조조정 추진 현황에 대한 현장 점검에 나선다.

24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10월말까지 진행되는 중소기업 신용위험평가가 마무리되는 대로 14개 은행의 중소기업 및 대기업에 대한 구조조정 이행 상황을 점검할 계획이다.

대상 은행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민·우리·신한·하나·외환·한국씨티·SC제일은행 등 모든 시중은행과 산업은행·기업은행·농협 등이다. 지방은행 중에서는 대구·부산·광주·경남은행이 포함된다. 제주·전북은행, 수협, 수출입은행 등 기업여신이나 워크아웃 기업 수가 적은 곳들은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점검에서 금감원은 은행들이 거래 기업의 신용위험을 평가하면서 부실우려기업(C등급)과 부실기업(D등급)을 제대로 선정했는지, 이후 구조조정을 제대로 추진하고 있는지 등을 살펴본다. 또 주채무계열(대기업그룹)에 대한 재무구조 개선 진행 상황도 점검한다.

관련기사



아울러 은행들의 비계량 평가에 대해서도 집중 점검하기로 했다. 은행들의 신용위험평가 작업과 발표 과정에서 일부 문제가 드러났기 때문이다. 비계량 평가란 기업의 미래 능력과 영업 전망을 측정하는 것으로, 미래 현금흐름 및 최고경영자 경영능력, 업종별 특성 등이 평가 항목에 포함된다.

실제 채권은행들은 지난 6월말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 65개 기업을 구조조정 대상기업으로 선정했지만, 일부 기업들은 기업의 특수성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았다고 반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금도 현대그룹과 미주제강 등 일부 기업들은 채권은행의 신용위험평가가 잘못됐다며 워크아웃 신청을 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금감원은 은행들이 기업의 미래 영업능력과 부채상환 능력을 간과한 채 안일하게 평가했는지 등을 살피기로 했다.

금감원의 한 고위관계자는 “이번 점검을 통해 구조조정이 책임감 있게 지속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며 “점검 후 이행실태가 미흡하거나 강도높은 구조조정이 이뤄지지 않았을 경우 집중적인 검사를 통해 책임을 물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