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유시민 극적인 승리… 지방선거에 '노풍' 부나

'친노 후보들에 파급' 관심… 김문수 "야권결집 계기" 분석<br>"효과 없는 야합이다" "반짝효과 그칠 것" 반론도 만만찮아<br>'야후쇼' 출연 유 후보 "김문수 대세론 조만간 역전될 것"

SetSectionName(); 유시민 극적인 승리… 지방선거에 '노풍' 부나 '친노 후보들에 파급' 관심… 김문수 "야권결집 계기" 분석"효과 없는 야합이다" "반짝효과 그칠 것" 반론도 만만찮아'야후쇼' 출연 유 후보 "김문수 대세론 조만간 역전될 것" 한국아이닷컴 뉴스부 reporter@hankooki.com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가 13일 민주당 김진표 후보를 제치고 후보 단일화 경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유시민 단일화'가 6·2 지방선거 변수로 부상했다. 참여당과 민주당은 이날 오전 수원 문화의 전당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유 후보가 50.48%의 득표율로 49.52%를 획득한 김 후보를 근소한 차로 누르고 단일후보로 선출됐다고 발표했다. 경선은 11, 12일 이틀간 선거인단(1만5,000명)에 대한 여론조사인 '국민참여경선'과 일반 경기도민(2,000명)을 대상으로 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각각의 결과를 50%씩 반영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국민참여경선에선 김 후보가 6,980표(52.07%)로, 6,424표(47.93%)를 얻은 유 후보를 앞섰지만 한국리서치와 동서리서치가 실시한 일반여론조사에선 유 후보가 53.04%를 획득해 46.96%를 얻은 김 후보를 앞섰다. 결국 유 후보는 1%P가 안 되는 차이로 극적인 승리를 거뒀다. 이처럼 유 후보가 승리를 거둠에 따라 현 도지사인 한나라당 김문수 후보와 유 후보 간의 양자대결 구도가 정치권의 관심사로 급부상했다. 야권은 유 후보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최측근이었던 만큼 '노풍'과 맞물려 지지층을 결집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에선 자신들이 내세운 후보가 패한 만큼 곤혹스럽다는 입장도 읽히지만 서울시장 후보인 한명숙 후보 등 친노 인사들에게 바람이 불기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한나라당 일각에선 '김문수 대세론'에 영향이 없을 것이라면서도 후보 단일화 경선이라는 이벤트를 통해 뽑힌 유 후보의 파급력에 내심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두언 중앙선대위 스마트전략위원장은 한 언론과의 통화에서 "단일화가 야권결집의 계기가 되고,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하기도 했다. 하지만 "효과 없는 야합"(정병국 사무총장), "반짝 효과에 그칠 것"(원유철 경기도당위원장)이라고 말하며 유 후보의 파급력을 평가절하는 이들도 있다. 전날 유 후보는 야후!코리아의 '야후쇼'에 출연해 "김문수 후보가 (나보다) 조금 앞서고 있는 건 사실인 것 같다. 여론조사 결과 10% 미만으로 뒤지고 있는데 내일 당장 선거를 치른다면 비슷하다는 뜻이다"라고 주장했다. 유 후보는 그 이유에 대해 "(이명박 정부가) 언론을 탄압하고 사회분위기를 거의 공안통치로 몰고 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ARS 전화가 왔을 때 '이명박 대통령이 되게 못한다'고 누르면 겁이 난다. 그렇지 않은가. 야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이 태도를 명확히 표현 안 하는 경향이 있다. 지난 두 차례 재보궐선거에서 보면 한나라당의 여론조사 지지율과 실제 득표율 사이에는 약 12%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청와대에서도 인정한 것이다. 박형준 정무수석이 내게 인정한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그는 "경기도지사 선거는 이미 박빙에 와 있다. 내일 단일화후보 경선에서 내가 단일후보가 되면 이번주 내로 선거 여론조사 결과도 역전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후보는 이번 지방선거의 쟁점에 대해서는 "이번 지방선거는 굉장히 뚜렷한 '정책 선거'가 될 것이다. 정책을 통해서 이명박정권을 심판하는 선거, 정책 경쟁을 통해서 경기도정을 바꾸는 선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 이렇게 뚜렷한 정책적 쟁점이 있는 선거가 과거에 별로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 경기도지사의 가장 큰 쟁점은 4대강 사업을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다. 김문수 지사가 또 지사가 되면 그대로 밀고 갈 거고 내가 되면 어떤 수를 써서라도 공사를 못하게 최대한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김문수 후보와 유 후보의 남다른 인연도 관심을 끌고 있다. 두 사람은 지금은 비록 색깔이 선명하게 갈리는 정당에 각각 몸 담고 있지만 서울대 선후배로서 한때 학생·노동운동에 함께 몸담으며 끈끈한 인연을 맺은 바 있다. 김문수 후보(70학번)와 유 후보(78학번)가 직접 인연을 맺은 건 86년 '5·3 인천사태'(인천에서 신한민주당의 개헌추진위원회 경인지부 결성대회가 운동권 시위로 무산된 사건) 당시 김문수 후보와 유 후보의 동생이 함께 국군 보안사에 연행되면서다. 두 사람의 서울 봉천동 집이 5분 거리밖에 되지 않아 서로 자주 왕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인연을 갖고 있기에 유 후보는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있던 2007년 경기도를 방문해 "김 지사가 고초를 겪던 시절 그를 구하러 다니느라 애썼는데 그러길 참 잘했다"고 덕담을 건네기도 했다. 두 사람은 김문수 후보가 90년 민중당 지구당위원장으로 현실 정치에 합류한 데 이어 96년 한나라당에 입당하며 다소 멀어졌다. 각각 자기가 소속된 정당의 잠재적 대권주자로 거론되며 라이벌이 되면서 심리적 거리는 더욱 멀어지게 됐던 것으로 보인다. 김문수 후보는 그간 경기지사 선거구도에서 김 후보의 독주체제를 이어왔다. 하지만 유 후보가 후보단일화 효과와 인지도 등을 통해 승리를 노리면서 결코 물러설 수 없는 한판 승부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