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부, 北측 3.1운동 순국자에 첫 포상

정부, 北측 3.1운동 순국자에 첫 포상북한지역에서 독립운동을 벌이다 숨진 인사들이 광복 이후 처음으로 독립유공자로 공식 인정받아 포상을 받게 됐다. 국가보훈처는 11일 평안북도 구성군에서 지난 19년 3·1 만세시위 운동에 참여했다가 피살된 고두일(高斗一) 선생 등 순국자 27명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고 오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번 조치는 일제치하 북한지역 출신으로 이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벌인 인사들도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됐다는 선례를 남겼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특히 앞으로 중국·러시아 정부와 문화협정 등이 체결돼 이들 정부가 보관하고 있는 역사사료들이 공개될 경우 북한지역에서 독립운동을 벌이다 순국한 애국인사들의 공적이 추가로 밝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보훈처는 지난해 원본이 발견돼 화제가 됐던 민족대표 33인 중 한명인 김병조 선생이 20년 저술한 「한국독립운동사략」을 1차 자료로 활용했으며 이 책의 원본에 기록된 내용을 일본 경찰 정보 보고서와 대조해 가며 확인작업을 거쳤다. 현재 이들 독립유공자들의 유족들이 북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지는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다. 정부는 일단 훈장을 보관하고 있다가 유족이 나타날 경우 기초적인 확인 작업을 거쳐 전달한다는 방침이다. 따라서 우리 정부의 이번 조치에 대해 북측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 관심거리지만 정부는 일단, 북측이 우리 정부가 수여한 훈장을 찾아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영일기자HANUL@SED.CO.KR 입력시간 2000/08/11 18:36 ◀ 이전화면

관련기사



한영일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