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이스피싱' 에 놀아나는 대한민국

가정등 무차별 공략·수법도 진화… 피해 1년새 2배 '껑충'<br>우정사업본부, 예방에 총력

대한민국이 ‘보이스피싱(전화금융사기)’에 시달리고 있다. 직장 사무실이 주공략 대상이었지만 이제 가정집은 물론 개인 휴대폰으로도 무차별적으로 걸려온다. 또 수법이 진화하면서 최근 들어 보이스 피싱 피해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 14일 우정사업본부와 경찰청 등에 따르면 지난 2007년 3,977건이던 ‘보이스 피싱’피해 건수는 지난해 8,439건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올 1ㆍ4분기에만 2,127건이 발생해 지난해 같은 기간(1,633건)에 비해 30% 이상 증가했다. 피해액도 2007년 434억원에서 지난해 875억원, 올 1ㆍ4분기 206억원으로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수법도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다. 자동응답시스템(ARS)을 통해 우편물이 반송됐다며 개인정보를 빼내던 고전적 방법부터 우체국 집배원 실명을 밝혀 안심시키는 수법, 최근에는 발신번호를 우정사업본부나 우체국 민원실, 경찰서 등으로 위장하는 등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서만 우체국을 사칭한 보이스 피싱 관련 신고 건수가 4만 여건에 이를 정도다. 우정사업본부는 모든 채널을 동원, 대대적인 피해 예방활동을 벌이고 있다. 우선 매월 둘째 주 월요일을 ‘보이스 피싱 피해 예방 홍보의 날’로 정해 전국 우체국에서 거리 캠페인을 전개하고 집배원들은 노인정과 마을회관을 직접 찾아가 보이스 피싱 수법을 꼼꼼히 설명하는 등 노인들의 사기 피해를 예방하고 있다. 아울러 우체통과 우체국택배 상자에도 경고 문구를 게재해 전화 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고 있다. 남궁민 본부장은 “직원들의 발 빠른 상황대처로 피해를 막거나 용의자를 검거한 사례가 올 들어 80건에 이르지만 전화 사기가 여전히 활개를 치고 있다”며 “세부적인 피해 예방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쳐 보이스 피싱 근절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