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술인력 부족시대의 재계 역할

기술인력 부족이 심화되고 그나마 노령화가 가속되어가고 있어 국가경쟁력 저하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는데도 가장 큰 피해자라고 할 재계의 해결 노력은 미지근하기만 하다. 지난 4월 대학진학생의 이공계 기피현상이 사회문제화 되자 전국경제인연합회는 CEO 공학교육 지원단 및 특별위원회설치 등 이공계 지원 및 육성방안을 발표한 바 있으나 아직 이를 실천에 옮기지도 못하고 있다. 고작 해외에서 인력을 보충하겠다고 나서고 있는 것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동안 산업계는 대학을 졸업한 신입 사원들이 현장과 동떨어진 교육을 받아 많은 경비를 들여 재교육을 시키지 않으면 활용할 수 없다고 볼멘소리를 해왔다. 그렇다고 문제해결을 위해 뚜렷하게 노력한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 노력은 않고 불만만 터뜨려온 셈이다. 이제는 산업계도 대학 등 교육계에서 좋은 인력을 배출해주기만을 바라는 소극적 자세에서 벗어나 기술인력양성의 적극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 산업자원부가 이공계 기피현상과 산업 기술인력 부족심화에 대한 위기감에서 내놓은 '산업기술인력 수급 종합대책'도 관계부처의 비협조로 암초에 부딪쳐 있다. 공대 교과과정을 현장 맞춤형으로 개편하고 병역특례를 확대하겠다는 내용의 종합대책에 대해 병무청부터 병역자원 부족과 형평성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부처간의 조율도 거치지 않고 발표된 대책에 기대를 걸기 보다는 이젠 산업계가 먼저 나서야 할 차례다. 해외에서 인력을 채용하겠다고 발표해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삼성은 간부들을 전국 과학고에 파견,순회특강을 하기로 했다. 우수 학생들의 이공계 진학유도와 인재 조기 확보를 위한 노력으로 평가된다. 글로벌 경제시대에 해외에서 인력을 확보하고 과학고 순회특강이 인력부족이나 이공계 기피현상을 메우거나 완화시키는 부분적인 대안이 될 수는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얼마다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고 더욱이 근본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무엇 보다도 학생들의 이공계 지원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비나 장학금 및 실습시설 등을 지원하고 졸업 후 채용을 약속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 같은 지원을 바탕으로 기술인력 양성에 대해 교육당국에 주문을 해야 한다. 구조조정 등으로 인한 명예퇴직 및 정리해고 등으로 숙련 기술자인 50대가 현장을 떠나고 노령화가 가속되면서 기술전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상황을 방치하면 국가경제의 성장 잠재력도 위협을 받지만 직접적인 고통을 당하는 것은 바로 산업계다. 사과가 떨어지기를 기다리기 보다는 직접 나무 위에 올라가는 자세전환이 요구된다. 이공계 기피현상을 완화시키고 기술인력을 양성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아무리 강해도 산업계가 보상체계를 개선하는 등의 맞장구를 치지 않으면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산업계부터 이공계 육성ㆍ지원과 연구결과에 대한 보상체계를 개선하는 한편 정부 및 교육계에 인력양성을 적극적으로 주문하는 것이 기술인력 부족시대에 재계가 해야 할 일이다.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