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재계 "종부세 세부담 위헌수준"

세금이 기대수익의 50% 넘어…반액과세원칙 위배

종합부동산세의 세부담이 지나치게 높아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 김상겸 연구위원은 5일 ‘종합부동산세 도입정책에 대한 평가 및 정책제언’ 보고서에서 “현행 종부세 도입안을 토대로 ‘재산의 수익개념’ 대비 세부담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위헌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세부담이 과도하게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종부세 도입을 둘러싼 위헌시비는 이중과세 등에 집중돼왔으며 보유재산의 기대수익액 대비 세부담률을 분석해 위헌성을 제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박사는 주택의 경우 시가총액이 50억원인 경우 임대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기대수익의 70% 이상을 국가가 각종 세금으로 가져가게 되며 이런 부담은 재산보유가 많을수록 점차 커진다고 밝혔다. 특히 나대지는 시가총액이 300억원을 넘으면 기대수익의 100% 이상을 각종 세금으로 납부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해 사유재산권의 본질을 침해하는 원본잠식이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기대수익의 50% 이상을 국가가 세금으로 가져가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의 위헌 판결로 정립된 ‘반액과세의 원칙’에 위배되며 ▦70~80%는 몰수적 수준 ▦100% 이상은 사유재산의 사실상 국유화를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재산에 부과되는 조세부담 총액이 기대수익의 50%를 넘을 수 없다는 반액과세의 원칙이 독일의 판례지만 우리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이 판결을 할 때 독일의 사례를 많이 참조하는 점에 비춰볼 때 소송이 제기될 경우 위헌 판결이 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김 박사는 이에 따라 “종부세는 위헌성을 비롯한 많은 문제를 안고 있는 만큼 도입하지 않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지적하고 “도입하더라도 국세 대신 지방자치단체세로 도입하고 과세체계도 대폭 단순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방분 재산세의 경우에도 현재의 3단계 세율체계를 폐지하고 0.3%의 단일 비례세율을 도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