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부산저축銀 비리' 정·관계 최고위층 연루 가능성 커

이명박(MB) 대통령 측근인 은진수(50) 전 감사원 감사위원이 29일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의 소환 조사를 받음에 따라 검찰의 부산저축은행 비리 로비수사의 최종 종착역이 어디가 될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정권 내 최고위 인사의 연루 가능성이 거론되면서 부산저축은행의 로비자금 규모가 최소 수십억 원대가 넘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피의자 신분으로 대검 청사에 소환된 은씨는 이날 오전 11시께 변호인 없이 혼자 서울 서초동 대검 청사에 도착해 “심려 끼쳐드려 죄송하다. 모든 진실은 검찰 수사와 재판 등 사법절차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고 밝혔다. 검찰은 김양(59∙구속기소) 부산저축은행그룹 부회장의 측근이자 부산저축은행의 정관계 로비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진 브로커 윤여성(56∙구속)씨에게서 "은진수 위원에게 억대의 금품을 건넸다"는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관계 최고위층 연루 가능성= 검사 출신인 은씨는 지난 2007년 MB 대선 후보 캠프에 합류해 법률지원단장을 역임했으며 BBK사건 당시에는 ‘BBK 대책팀’을 이끌며 이 후보 변호인으로 활약했다. 대통령직 인수위에 참여해 법무행정분과 자문위원을 맡았고 2009년에는 감사원 감사위원에 임명돼 4대강 감사를 진두 지휘, 정권 내 핵심 인사로 급부상했다. 감사위원으로 재직하면서 부산저축은행 퇴출을 막기 위한 막후 활동에 나섰다면 적어도 MB 정권 내 고위ㆍ유력 인사 여러 명이 그의 로비 사정권에 들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게 검찰의 판단이다. 실제로 올 초 김황식 감사원장은 한 모임에서 "저축은행 감사 도중 오만 군데서 압력이 들어왔다. 사실상 여러 가지 청탁 내지 로비가 있었다"고 발언한 바 있다. 검찰은 최고위급 정치인이나 정권 실세가 아니고서는 감사원장을 상대로 청탁이나 압력을 넣기 힘들다는 점에서 실세 정치인 등의 묵인과 비호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부산저축은행 로비 자금 규모 수십억 원 넘을 듯=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이 퇴출 벼랑 끝에 내몰렸던 만큼 이를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비자금을 동원해 퇴출 저지 로비에 매달렸을 것으로 보고 있다. 검찰 안팎에서 최소 수십억 원이 넘는 자금이 조성돼 정∙관계 로비에 사용됐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실제로 검찰은 부산저축은행이 은행 퇴출을 저지하기 위해 지난해 말 김 부회장 채널을 통해 부산저축은행 관련 여러 특수목적법인(SPC)에서 각각 최소 수억 원 이상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포착, 수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부회장은 이 자금을 금융 브로커 윤씨 등 복수의 로비 담당자들에게 나눠준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