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아르헨티나 28일 또다시 폭동

'예금인출 제한유지'등 불만폭발 ■ 아르헨 폭동재연 혼미 대법원, 은행계좌동결소송 기각 '정부지지' >>관련기사 아르헨티나에 28일 또다시 발생한 시민 폭동은 새 정부 수립에도 불구, 아르헨티나 사태 해결의 본질적 접근은 사실상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이날 폭동의 직접 원인은 아르헨티나 대법원이 정부의 은행 계좌 부분동결 조치가 헌법에 위배된다고 주장하는 예금주들의 소송을 기각, 정부측을 지지하는 결정을 내린 데 있다. 지난 3일 페르난도 델라루아 전 대통령은 은행 예금주에 대해 매달 현금 1,000달러 이상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는 은행계좌 부분동결조치를 실시했었다. 이에 반발한 국민들이 폭동을 일으켜 델라루아 정부를 무너뜨렸지만 새로 수립된 과도 정부 역시 예금인출 제한조치를 유지하려 하자 국민들의 반발이 커진 것. 국민들의 항의 시위가 격해지자 아돌포 로드리게스 사아 대통령이 이끄는 임시 정부의 카를로스 그로소 수석장관이 사임한 것을 비롯, 과도 정부 내각이 일괄 총사퇴를 표명하며 사태 수습을 위해 나섰다. 사아 대통령은 또 은행 간부들과 회의를 갖고 예금주 개인당 최대 1,000페소 혹은 1,000달러까지 현금을 인출할 수 있도록 은행영업시간을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연장해줄 것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같은 정부측 조치에도 불구, 분석가들은 이번 사태의 보다 근본적인 문제는 아르헨티나의 페소화를 미국 달러화에 고정시키는 페그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사라지지 않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국민들은 언제 페그제가 무너져 페소화 가치가 떨어질 지 모른다며 은행 예금을 닥치는 대로 달러화로 빼내려 하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 정부가 내년 초부터 발행할 새로운 통화 '아르헨티노'가 유통되면 페소화 가치가 하락해 자신들의 예금이 휴지 조각으로 전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페그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다. 전세계 금융시장 역시 '아르헨티노'가 발행되면 페소화의 평가절하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이로 인한 파급효과를 우려하고 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의 금융분석가 브루노 보카라는 "(아르헨티노 발행은) 임기응변일 뿐"이라면서 "페소화의 급격한 평가절하라는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호르스트 쾰러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아르헨을 지원할 용의가 있다고 표명한데 이어 28일 앤 크루거 IMF 수석부총재가 사아 임시대통령과 전화 접촉을 가졌다. 또한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도 28일 미국이 아르헨티나를 "기술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IMF나 미국 모두 아르헨티나 정부가 재정ㆍ금융정책을 확립할 것을 선결 과제로 요구하고 있어 이들의 지원이 신속히 취해져 시민 소요사태를 완전히 가라앉힐 수 있을 지는 단언할 수 없는 상황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노희영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