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C&重 자금분담 비율 놓고 채권단 '책임 떠넘기기'

■ C&중공업 워크아웃 차질 우려<br>메리츠화재 "대부분의 부담 짊어질수 없다" <br>우리은행은 "최대 채권자가 거부 했는데…"<br>내년 실사후 지원여부 최종 결정할듯


C&重 자금분담 비율 놓고 채권단 '책임 떠넘기기' ■ C&중공업 워크아웃 차질 우려메리츠화재 "대부분의 부담 짊어질수 없다" 우리은행은 "최대 채권자가 거부 했는데…"내년 실사후 지원여부 최종 결정할듯 김민형 기자 kmh204@sed.co.kr 문승관기자 skmoon@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채권단이 C&중공업 자금지원 문제를 놓고 견해차를 좁히지 못하는 바람에 신규 자금지원 계획이 무산됐다. 채권단은 워크아웃을 최종 결정하기 앞서 실사작업을 진행할 예정이지만 지금처럼 알력을 되풀이할 경우 C&중공업의 회생작업은 상당히 불투명해질 것으로 보인다. ◇자금분담비율 놓고 알력=C&중공업에 대한 150억원 규모의 신규 자금지원 계획이 무산된 것은 자금분담비율을 놓고 채권단이 알력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현재 C&중공업의 총 신용공여 금액은 약 5,503억원 수준이다. C&중공업의 최대 채권자인 메리츠화재의 신용공여액은 선수환급보증서(RG) 채권으로 구성된 2,833억원이다. 이는 전체 신용공여액의 51.5%를 차지한다.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의 경우 총 259억원(대출채권 212억원, 보증채무이행 청구채권 47억원)의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전체 채권금액 중 4.7%에 불과하다. 따라서 메리츠화재의 대출채권이 주채권은행보다 월등히 많은 구조다. 가장 큰 문제는 신규 자금지원 이후 워크아웃 과정에서의 자금 배분이다. 메리츠화재의 의결권 비중은 51.5%이지만 자금지원 기능이 없는 수출보험공사(21.4%)를 빼면 자금을 지원할 때 76%를 책임져야 한다는 게 채권은행들의 주장이다. 메리츠화재의 한 관계자는 "워크아웃 과정에서 신규 지원자금을 지원할 때 배분했던 비율로 C&중공업에 대한 자금투입 규모가 결정될 가능성이 크다"며 "대부분의 부담을 우리가 짊어질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메리츠화재로부터 운영자금 지원을 할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며 "최대 채권자가 자금지원에 대한 거부의사를 밝혔기 때문에 신규 자금지원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사 후 워크아웃 최종 결정=메리츠화재는 29일 "외부 전문기관을 선정해 자산·부채 실사작업을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내년 2월까지는 C&중공업에 대한 채권행사는 유예된다. 채권단은 시한이 촉박하다고 판단되면 1개월 더 실사를 연장할 수 있다. 우리은행의 한 관계자는 "이번주 중 실사기관을 선정해 내년부터 실사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실사결과를 보고 난 후 자금지원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실사기관의 실사 결과 C&중공업이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의문이 제기된다면 워크아웃은 중단된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채권단 간의 견해차가 커 실사결과도 낙관할 수 없다"며 "C&중공업의 경우 당분간 신규 자금지원 없이 영업에 나서야 하기때문에 경영정상화 작업에 큰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다른 중소 조선업체에 대한 구조조정 과정에서도 이번처럼 대출채권 보유 금융기관과 RG보증기관이 서로 책임을 떠넘기려는 사례가 되풀이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중소 조선업체에 대한 구조조정은 줄도산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허탈한 C&중공업=C&중공업은 당장 150억원 긴급자금 지원이 무산되자 중국에 발주한 플로팅독 반환은 물론 수주선박 인도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협력업체들의 도산 위기도 한층 높아졌다. C&중공업의 한 관계자는 "현재 짓고 있는 첫번째 선박은 8만1,000톤급 벌크선(4,000만달러 정도)으로 당초 내년 1월 중순이 납기 예정"이라며 "한달 정도는 무상으로 연기할 수 있지만 그 이후부터는 하루에 1만6,000달러의 위약금을 내야 하는데 최근 후판가격과 환율 등을 고려할 때 긴급자금만 들어오면 정상화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주장했다. 이 관계자는 "워크아웃 절차를 개시할 때는 '회생 가능성이 있다'고 해놓고 이제 와서 책임을 서로 떠넘기고 있다"며 "정부가 지금이라도 개입해 조정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