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날 인천 아시아드 주경기장에 대형 할인점, 영화관, 아웃렛, 예식장, 문화·스포츠센터 등 수익시설을 유치하는 운영사업자 선정 입찰을 처음 실시했으나 응찰한 곳이 한 곳도 없었다. 시는 오는 28~31일께 재입찰을 실시할 계획이지만 낙찰자가 나올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사업자들이 연 37억원에 이르는 임대료와 추가로 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비용이 추가로 발생할 수밖에 없어 상당한 부담을 갖고 있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아시안게임을 치른 지 1년이 다 돼가고 있지만 신설 경기장 대부분이 이렇다 할 수익사업을 찾지 못한 채 거액의 유지·관리비만 집어삼키고 있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9월19~10월4일까지 열린 아시안게임을 위해 신설된 경기장은 16개로 1조7,000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신설 경기장 16곳의 올해 예상 수입은 37억원인 반면 유지·관리비는 203억원으로 예상됐다. 영업 수지율이 18.2%에 불과해 운영할수록 큰 폭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건설비로 4,700억원이 사용된 서구 아시아드 주경기장은 아시안게임 종료 후 별다른 행사를 유치하지 못한 채 올해 33억원의 관리비를 지출해야 한다. 주경기장은 도심 외곽에 떨어져 있는데다 지하철역과도 연결되지 않아 교통이 불편한 탓에 대규모 행사를 유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른 경기장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수영장과 빙상장 등 일반인의 수요가 많은 일부 경기장을 제외하고는 수지를 맞추기 어렵다. 16개 신설 경기장 중 일부 시설이라도 낙찰된 곳은 업무시설과 스크린골프장을 유치한 남동체육관과 열우물 경기장 등 두 곳뿐이다. 인천 지역 시민단체 관계자는 "인천시는 공공 체육시설 운영 활성화 시책을 적극적으로 펼쳐 지출 대비 수입 비율을 내년에는 60%대, 2017년에는 80%대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실현 가능성은 회의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