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기업의 투자기피와 내수부진의 악순환

기업들이 하반기에 투자보다는 내실 다지기에 더 신경을 쓰는 등 안정위주의 보수적 경영전략을 세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경기회복 전망에 먹구름이 드리워지고 있다. 전경련이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하반기 경영환경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설비투자를 중점 경영전략으로 꼽은 기업은 불과 4%에 그쳤다. 반면 새로운 일을 벌이기 보다 경영내실화를 다지겠다는 기업이 51%, 환율과 유가 등 경영위협 요인을 관리하겠다는 기업이 21%로 70% 이상이 안정성 중시의 경영에 나설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변수와 정부의 정책 우선과제로는 환율과 내수회복이 가장 많이 꼽혔다. 경기회복을 위해서는 수출위축과 채산성 악화를 막고 내수를 진작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문제는 내수가 기대처럼 쉽게 살아나지 않는다는데 있다. 연초 회복조짐을 보이던 소비심리는 최근 들어 다시 주춤거리고 있다. 정부에서는 추경예산과 민자유치 BTL 사업 등 종합투자계획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 효과가 의문시되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는 가운데 재정을 조기에 쏟아 붓는 등 안간힘을 다했는데도 1ㆍ4분기 경제성장률이 겨우 2.7%에 그쳤다는 점에서 추경편성 등은 잘해야 경기의 추가하락을 막는 효과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출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지난해에 비해 탄력성이 크게 떨어졌으며 특히 지난해 하반기의 환율하락세의 영향이 기업실적 및 채산성 악화로 가시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경기회복의 지름길은 민간의 투자확대다. 투자가 늘지않으면 고용사정이 개선될 수 없고 소비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기업들의 투자위축은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킨다는 점에서도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그런데 기업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으니 이만저만 걱정이 아닐 수 없다. 기업들의 투자기피는 경기전망이 불투명한데다 규제 등의 걸림돌이 많기 때문이다. 기업들의 투자활성화 유도정책이 시급하다. 또 기업들도 보수경영이 내수위축을 심화시킨다는 점을 인식, 움츠러들기만 할게 아니라 투자를 늘리는 등 보다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