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전세계 노는 선박수 사상 최고

글로벌 컨테이너 선복 143만TEU 돌파

해운경기 침체로 일감이 없어 놀고 있는 컨테이너 선복(계선)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글로벌 해운사들의 항로 합리화 등의 영향으로 5,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선의 계선 비율이 높아졌으며 한진해운•현대상선 등 국내 선사들 역시 컨테이너선 가동률이 70% 안팎으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해운 분석기관인 AXS알파라이너에 따르면 지난 23일 현재 전세계 컨테이너선대의 11% 수준인 143만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가 운항을 하지 못하고 해상에서 대기하고 있다. 이는 AXS알파라이너가 조사를 시작한 후 최대 규모다. 특히 5,000TEU급 이상 컨테이너선의 계선이 두드러졌다. 이는 해운사들이 동계 노선 합리화 조치로 일부 선박의 운항을 중단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 컨테이너선사들의 선박 가동률도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진해운의 지난 3ㆍ4분기 컨테이너화물 가동가능 물동량은 349만5,921TEU였으나 실제 가동 물동량은 231만4,484TEU로 평균 가동률은 66%에 그쳤다. 해운경기가 호황이던 지난해 1ㆍ4분기의 평균 가동량 75%에 비해 9%포인트 감소한 것이다. 현대상선 역시 3ㆍ4분기에 컨테이너화물 가동가능 물동량(249만3,423TEU)의 72.8%인 181만6,181TEU만을 수송했다. 이는 지난해 1ㆍ4분기 평균 가동량 74.38%보다 낮은 수준이다. 현대상선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컨테이너선박 61척(자선 22척, 용선 39척) 중 8척이 계선 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사상 최고 수준으로 급증한 계선 문제가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5년가량 소요될 것으로 전망됐다. AXS알파라이너는 "선사들의 선박 인도 스케줄 조정 및 향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바탕으로 했을 때 2011년 말까지 계선선박 수는 총 300만TEU에 달할 것"이라면서 "계선선박이 완전히 해소되는 데는 5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