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벤처캐피탈 투자패턴 바뀐다

벤처캐피탈 투자패턴 바뀐다 한동안 꽉 막혔던 벤처캐피털의 투자가 자금여력이 있는 대형 벤처캐피털을 중심으로 서서히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저배수 안전위주 제조벤처선호' 등의 새로운 투자패턴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가장 큰 특징은 종전 고배수 투자에서 2~3배의 저배수로 투자하면서도 극도의 신중을 기한다는 점. 또 투자형태도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등 안정성을 고려한 투자를 적극 고려하고 투자포트폴리오 구성에서도 인터넷기업보다는 매출과 안정성이 높은 제조벤처나 환금성이 높은 벤처쪽에 무게중심을 많이 주고 있다. 현장방문을 강하하고 기존 투자회사에 대한 DB구축과 투자리스크관리 도입에도 적극성을 보이는 등 내부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는 것도 달라진 점이다. ◇투자재개의 배경= 자금난에 허덕이는 벤처들의 투자심사 요구가 많아지고 있는데다 증자배수 요구도 줄어드는 등 거품이 빠져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부실기업 퇴출명단 발표 등 구조조정이 나름대로 다시 가속화되고 있고 실물경제의 바닥을 내년 상반기말로 본다면 주식시장은 내년초부터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 때문이다. K사의 M기획팀장은 "아직 벤처쪽에선 고배수 투자를 요구하는 업체가 많으나 최근 저배수투자도 감수하는 벤처가 점차 늘고 있다"며 "벤처캐피털측과의 투자배수 차이가 줄어들면 들수록 투자는 당연히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CBㆍBWㆍ융자형태로의 투자 전환= 프리코스닥 및 코스닥시장이 다시 상승세로 전환된다고 해도 여전히 신주인수 방식으로 투자하기에는 아직 불안감이 있다. 그래서 최근 전환사채(CB)나 신주인수권부사채(BW) 방식의 투자가 늘고 있다. 특히 자금이 달리는 기업일수록 할인율이 높아 벤처캐피털로서는 위험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또 시장이 상승세로 돌아서면 언제던지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잇점이 있기 때문이다. 물적담보를 제시할 수 있는 벤처에 대해선 창업자금대여금 등 융자형태의 지원도 늘고 있다. M사의 H심사역은 "중장기적으론 벤처업계의 자금압박를 가중시키는 측면이 있어 장기화되어서는 안되지만 당분간 이런 경향은 지속될 것이다"고 말했다. ◇굴뚝ㆍ바이오ㆍ엔터테인먼트벤처 선호= 각 회사 심사역중 최근 제일 한가한 쪽이 인터넷 소위 닷컴벤처 심사역. 아예 어떤 임원은 닷컴기업은 이야기도 하지 말라고 심사역들에게 주문했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매출실적이 뒷받침되는 IT장비업체나 환금성이 좋은 엔터테인먼트벤처, 고수익성의 바이오벤처쪽 투자가 오히려 늘고 있다. K사 심사역은 "벤처캐피털이 투자업종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재구성하면서 상대적으로 닷컴기업들이 외면받고 있다"고 말했다. ◇묻지마투자는 옛말= 고배수 투자는 사절. 아직 고배수 투자를 기대하고 있는 벤처들이 있지만 벤처캐피털쪽에선 5배수가 투자심리 마지노선으로 봐야 한다고 한 심사역은 말했다. 시장성보다 안정성쪽에 무게중심을 상대적으로 더 두고 벤처 현장방문도 훨씬 강화된 것도 예전과 다른점. H사의 L심사역은 "기존 투자업체를 다시 방문해 보면서 왜 고배수나 투자했는지 후회스러울 때가 있다"며 "과거에는 사업계획서 검토후 벤처가 직접 찾아와 몇번 상담하고 투자를 결정한 사례도 있었지만 요즘은 현장방문을 몇번이나 하고도 결정에 신중 또 신중을 기한다"고 말했다. ◇리스크관리시스템 구축= 기 투자업체의 관리강화와 종합적인 리스크관리를 위한 투자관리시스템 도입욕구가 커지고 있다. 최근 KTB가 지난 2월부터 착수, 최근 구축한 iVank21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H사의 한 임원은 "아직 구축을 시작한 업체는 없지만 필요성에는 다 공감하고 있어 이 같은 시스템 구축이 점차 확산될 것이다"고 말했다. 조충제기자 입력시간 2000/11/13 18:55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