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의 도시를 바꾸자] 아파트 공동체운동 역사

국내에 아파트가 첫 선을 보인 지 40년이 흘렀다. 그러나 아파트 공동체 문화 운동이 싹 튼 것은 80년대 말부터다. 아파트 공동체문화 운동의 효시로 91년 6월 서울 노원구 의회가 결성한 `아파트 하자문제 대책 특별위원회`를 들 수 있다. 88년 서울 상계지역에 고층 아파트가 대거 입주했고, 이에 따른 하자문제 등 주거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관이 함께 문제해결에 나선 것이다. 그 후 92년 광주 YMCA에서 아파트 상담과 아파트 시민학교를 개설했고, 10월에는 노원구에서 아파트 생활시민모임이 구성됐다. 이를 계기로 전국 각 지역에서 주민모임 형태의 아파트 공동체 운동 조직이 잇따라 결성됐다. 하지만 90년대 중반 이들 아파트 공동체 운동 조직은 와해되기에 이른다. 이런 가운데 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신도시 바닷모래 사용 등이 드러나면서 아파트 공동체 운동이 다시 불붙기 시작했다. 98년 2월 참여연대가 아파트공동체연구소를 창립하는 등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공동체 회복 운동이 일기 시작했다. 99년 8월에는 국내 최초로 아파트 공동체운동 관련 활동가들의 워크숍이 열리기도 했다. 99년 3월에는 제2건국위원회에서 정신운동의 일환으로 아파트 공동체운동이 선정됐다. 90년대 말 시민단체가 공동체 운동을 주도 했다면 2000년에는 지자체와 입주민들이 그 바통을 넘겨 받았다. 지방자치가 자리를 잡으면서 시ㆍ군ㆍ구 등 지자체들이 해당 지역 특성에 맞는 아파트 공동체운동 지원에 나서고 있다. 인터넷은 아파트 입주민간 결속을 다지는 매체로 활용되면서 예전과 다른 아파트 공동체운동의 형태를 만들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표 : 아파트 공동체운동 소사 - 구분 내용 60년대 - 아파트 국내 첫선(63년 마포 아파트) 70~80년대 - 고층 아파트 대거 공급(공동체문화 운동 전무) 90년대 초 - 하자보수 등 주거생활 문제 해결 차원으로 공동체조직 결성 - 아파트 생활시민모임 등 공동체운동 조직 등장 - 90년대 중반 - 공동체 조직 와해 - 90년대 후반 - 신도시 모래사용 계기로 아파트 공동체운동 회복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와 중앙정부 주도) 2000년대 - 공동체 운동, 지자체와 입주민 중심으로 진행. (시민단체와 중앙정부 역할은 축소) <이상훈기자 shlee@sed.co.kr>

관련기사



이상훈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