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대기업 '간판갈이' 유혹에 업체간 단합 힘든듯

신청 늦어지는 커피 적합업종 왜

장사 잘 되면 대기업 찾아와 "공짜 인테리어에 자금지원"

브랜드 바꿔타기 제안… 굳이 적합업종 필요성 못 느껴

[IMG02]

지난해 5월부터 줄곧 커피전문점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청하겠다고 밝혀온 한국휴게음식업중앙회(이하 음식업중앙회)가 해를 넘기도록 이렇다할 행동에 나서지 않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음식업중앙회는 지난해 5월, 7월, 11월 등 수차례 신청 의사를 밝힌 데 이어 지난달 5일에는 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신청을 결정했다며 적합업종 지정을 강하게 밀어붙이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음식업중앙회는 아직도 신청서를 내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23일 동반성장위원회및 음식업중앙회, 관련업계에 따르면 커피전문적 적합업종을 놓고 전문점들 사이에서 이해가 엇갈리면서 적합업종 신청이 늦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한 커피전문점 사장은 "미루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결국 업체들간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 아니겠냐"며 "요새 보면 대기업들이 장사 잘 되는 가게에 찾아가 자기네 브랜드로 바꾸면 공짜로 인테리어 해주고, 자금 지원까지 해주니 이런 가게들은 굳이 적합업종의 필요성을 못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적합업종을 해도 목 좋은 곳에서 대기업 브랜드와 경쟁하며 잘나가는 중소 커피브랜드나 혜택이 있지, 동네 골목에 있는 영세 커피전문점은 별로 달라질 것도 없어 굳이 해야 되는지도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실제 한 중소 커피프랜차이즈 업체에 따르면 커피 적합업종이 논란이 불거지면서 대기업 계열 커피브랜드들은 매출이 뛰어난 중소업체에 유리한 조건을 내걸고 매장 확대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 관계자는 "실제 점주들과 얘기해보면 그런 제안을 많이 받고 있고, 우리 뿐만 아니라 다른 중소브랜드들도 종종 대기업의 사업 제안을 받고 있다"며 "대기업이 중심상권에 있는 가게를 찾아가 브랜드를 바꾸면 인테리어 다 바꿔주고 현금 지원도 해준다고 하니 계약이 끝나가는 점주들이 혹해서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대해 음식업중앙회는 심사숙고 중이라며 외국계 기업까지 규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 중이기 때문에 늦어지고 있다고 반박했다. 음식업중앙회 관계자는 "일부에서 말하는 그런 얘기는 전혀 모르겠다"며 "신중하게 준비하고 있을 뿐 별 다른 이유는 없다"고 전했다. 그는 또 "회원사들 의견이 일치가 돼 오는 3월 초에 신청할 계획으로, 신청이 늦어진 것은 적합업종이 지정되면 통상문제 때문에 규제를 안 받는 외국계만 좋은 일 시키고, 국내업체만 죽이는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동반위도 이 문제에 대해 답변을 안 해주니 계속 심사 숙고해 검토 중이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동반위와 관련업계는 중앙회의 이 같은 해명이 신청을 늦추는 이유가 될 수 없다며 석연치 않다는 표정을 짓고 있다. 음식업중앙회는 적합업종에 대한 입장을 밝히고 신청서를 내기만 하면 될 뿐, 외국계 규제는 음식업중앙회가 방안을 찾고 말고 할 문제가 아니라는 것. 아울러 외국계 규제도 지난해 외식업 적합업종 때 이미 규제대상으로 포함시킨 전례가 있어 더 이상 문제될 것이 없다는 게 동반위의 입장이다.

동반위 관계자는 "동반위가 신청서를 접수받고 중재든 조정이든 할 일이지, 중앙회가 직접 나서 규제방안을 찾을 수는 없는 일"이라며 "외국기업 규제 문제는 지난번 외식업 적합업종 지정때 아웃백스테이크하우스같은 외국업체가 규제 대상으로 포함돼 더 이상 논란의 여지조차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적합업종 신청이 어려운 일도 아닌데, 회원사가 다 의견 일치를 했다면서도 아직까지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봐선 다른 이유가 있는 듯 하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