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서울 도심 곳곳서 反금융자본 집회 열려

반금융 국제연대집회 우천속 열려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여의도를 점령하라 -금융수탈 1%에 저항하는 99%' 시위에서 가면을 쓴 참가자들이 금융자본의 탐욕을 비난 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서울 도심 곳곳서 反금융자본 집회 열려 서울 한복판서… 결국 우려하던 일 터졌다서울 反금융자본 시위 600명 참가 그쳐한국선 공감대 형성 못해다양한 요구 쏟아지며탐욕 비판 본질 벗어나 나윤석기자 nagija@sed.co.kr 지난 15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여의도를 점령하라 -금융수탈 1%에 저항하는 99%' 시위에서 가면을 쓴 참가자들이 금융자본의 탐욕을 비난 하고 있다. /신상순기자 각국에서 열리는 반(反)금융자본 시위에 발맞춰 서울 도심 곳곳에서 집회가 열렸다. 하지만 참가자가 수백명에 그치고 금융탐욕을 비판하겠다는 본질과 다른 다양한 요구가 쏟아지면서 시위의 본질이 흐려졌다는 지적이다. 금융소비자협회와 금융소비자권리찾기연석회의ㆍ투기자본감시센터ㆍ참여연대 등 시민단체 회원 300여명은 이날 오후2시 여의도 금융위원회 앞에서 '여의도를 점령하라-금융수탈 1%에 저항하는 99%'를 구호로 월가 시위 국제연대집회를 열었다. 약한 빗줄기 속에 열린 집회에는 시민단체 회원을 비롯해 저축은행 사태 피해자와 키코(KIKO) 피해자, 쌍용자동차 해고노동자 등이 참가했다. 참여연대 시민경제위원회는 오후1시 여의도 금융위원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외환은행 소액주주를 모아 임시주주총회를 개최하는 등 이사 교체를 위한 '론스타 시민소환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어 시민사회단체와 노동단체, 일반 시민 등 600여명(경찰 추산, 주최 측 추산 1,000명)은 오후6시 대한문 앞에 집결해 '1%에 맞서는 99%, 분노하는 99% 광장을 점령하다'를 구호로 내걸고 '서울을 점거하라, 국제 공동행동의 날' 집회를 열었다. 안지중 한국진보연대 사무처장은 "전세계적인 금융자본주의에 반대 행동에 발맞추기 위해 행사를 계획했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우리나라의 고통 받는 99%를 한 자리에 모으려고 시도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날 시위 참가자가 적었던 것은 한국이 금융위기 진원지가 아니어서 금융권 탐욕 비판이라는 시위 취지에 대한 공감대가 낮았던데다 이념이 보태지며 성격이 변질됐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들만의 돈잔치' 대체 어느 정도였기에 결국…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