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대학 힘모아야우리나라 청년들의 사회진출을 위한 시장관리의 책임을 맡고 있는 정부는 현재의 정책실패를 과도기적 상황의 탓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십 수년간의 정규교육을 마친 청년층이 평생 몸담을 노동시장에 첫발을 내디디면서 반반한 일터 하나 제대로 찾을 수 없다는 것은 단지 그들만의 비극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직업탐색의 정보와 경험을 부족하게 갖고 있는 그들이지만, 청년들은 졸업 이후의 생계유지 수단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계층이다. 따라서 이들의 미취업은 장기간에 걸쳐 어렵게 양성한 인적자본을 퇴장 시킨다는 의미를 넘어서 사회적인 분배구조와 장기적인 재생산과정 전체에 있어 심각한 왜곡을 초래한다.
이러한 점을 중시할 때 정부는 IMF 경제위기 이후 최근까지 의존해 온 단기적이면서도 미봉적인 처방을 지양해야 할 것이다.
패러다임 변화에서 비롯된 노동시장의 중장기적 부조응 문제는 미래의 인력수급에 대한 엄밀한 전망을 거친 거국적인 중장기 인력수급체계의 새로운 작성에 의해서 해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을 비롯한 교육시장에 대한 정부의 정책방향 제시는 물론 그 체계가 마련된 이후에 이뤄져야 한다.
많은 제약 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 청년층의 사회진출을 떠맡고 있는 곳은 대학을 비롯한 교육 기관이다.
이들 기관들은 모두 졸업생의 사회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기구를 보유하고 있으나, 일부 기관은 과거 산업사회에서의 제도와 의식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결과 이들 기관의 진로 및 취업지도는 비효율적으로 이뤄져 학생과 기업 양측 모두로부터 실망의 손짓을 받기도 한다.
이것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적응의 실패 혹은 적응의 태만에서 비롯된 것이며 교육기관으로서 가져야 하는 책임의 마지막 부분을 방기하는 것이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이뤄지고 있는 직업의 세분화와 다양화, 그리고 한층 긴밀해지는 사학간 협력체제 등에 비추어 볼 때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에서는 새로운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진로개발과 철저한 사회진출지원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고 본다.
21세기 지식기반 정보화사회의 기초는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고 확보하는데 있다. 기업과 정부, 대학 등이 나서 거국적인 차원에서 우리 청년들의 미래를 펼쳐주는데 한 마음을 모아야 할 시점에 우리는 서 있다. (http://home.inje.ac.kr/~job)
/박석근(인제대 취업정보센터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