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일본·인도 LNG수입국 협의체 만든다

"亞지역 북미보다 30% 비싸" 한국·싱가포르 등에 동참 요청

액화천연가스(LNG)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일본과 인도가 수입국 협의체를 만들기로 합의하고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등 다른 국가에도 동참을 요청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경제산업상과 베라파 몰리 인도 석유가스장관이 9일 도쿄에서 LNG 수입국을 포괄하는 다자기구를 만들기로 합의했다고 10일 보도했다. 그동안 일본 등 아시아 LNG 수입국가 내에서 가격에 대한 산발적인 불만이 꾸준히 제기돼왔지만 조직을 만들어 본격적인 대응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국은 성명서에서 "아시아 지역의 LNG 가격은 유럽이나 북아메리카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며 "LNG 생산국이나 수입국 모두 납득할 만한 수준에서 가격이 결정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양국은 또 아시아에서는 거래 당사자 간 계약 가격이 대외비라 수요와 공급을 반영한 신뢰할 만한 가격 지표가 없다며 LNG 가격 결정의 불투명성을 지적했다.

양국은 한국과 싱가포르 등 LNG 수입량이 많은 다른 아시아 국가에도 협의체 동참을 요청했다. 한국은 세계 2위 LNG 수입국이며 한국가스공사는 단일 바이어로는 최대 큰손이다.


아시아의 LNG 가격이 비싼 이유는 대부분 원유 가격과 연계해 장기계약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로 계약을 맺다 보니 최근 셰일가스 붐으로 급격하게 떨어진 현물시장의 가격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

관련기사



올여름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되는 LNG 가격은 1BTU당 18달러에 달했다. 이는 3달러 수준인 북미에 비해 6배가 비싼 가격이다. 일본 정부 관계자는 "수송비용과 액화에 드는 비용을 감안하더라도 북미보다 30%나 비싼 값을 주고 사오고 있다"고 말했다.

LNG 사용량이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도 수입국들의 움직임을 재촉하게 만든 요인이다. 한국ㆍ일본 등 아시아 국가는 올여름 불볕더위로 전기사용량이 치솟으면서 LNG 수입을 확대했다. 특히 최대 수입국인 일본은 후쿠시마 원전 폐쇄 이후 지난 2년간 LNG 수입을 크게 늘렸다. 인도의 경우 통화 약세로 인해 에너지 수입 부담은 커지고 이는 다시 무역적자 확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어 가격 협상에 더 적극적이다.

그러나 LNG 가격을 방어하기 위한 수출국들의 견제도 만만치 않다. 이미 러시아ㆍ카타르 등 수출국들은 이미 협의체를 구성해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대통령은 지난 7월 가스 수출국 포럼에서 수급 안정을 위해서는 원유 연계 장기 계약 체제가 유지돼야 하며 이를 위해 수출국가들이 힘을 합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혜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