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당뇨환자 만성콩팥병 주의해야

건강한 사람보다 위험 2.7배나 높아

당뇨환자 만성콩팥병 주의해야 당뇨환자가 건강한 사람에 비해 콩팥에 이상이 생길 위험이 2.7배나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일 대한신장학회가 지난 2008년 말 만성콩팥병으로 치료 중인 5만1,989명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일반인의 만성콩팥병 발생률은 11.7%에 그친 반면 당뇨병 환자는 31%가 콩팥에 이상이 생겼다. 또 만성콩팥병 발생을 알리는 신호등 역할을 하는 ‘알부민뇨(단백뇨)’도 당뇨병 환자의 27%에서 관찰돼 당뇨병이 없는 일반인의 8.4%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 이 같은 조사결과는 혈당 조절이 안 될수록 만성콩팥병이 더욱 증가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만성콩팥병이 생긴 당뇨병 환자는 공복혈당이 120㎎/㎗ 이상인 경우가 59.3%로 일반 당뇨병 환자(44.1%)에 비해 혈당이 잘 조절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당뇨병성 만성콩팥병 환자는 일반 고혈당 환자와 달리 인슐린 요구량에 변화가 오고 먹는 혈당강하제에 의한 저혈당 위험이 커지는 특징이 있다. 또 고혈압이 심하고 잘 조절되지 않으며 소변에 알부민뇨가 나타나고 심혈관질환(관상동맥질환) 및 말초혈관질환(사지절단)의 위험도 2배가량 높아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학회 김영훈 홍보이사(인제의대 신장내과)는 “콩팥은 기능이 50% 이하로 줄어도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면서 “당뇨병 환자의 경우 혈당 조절도 중요하지만 정기적인 소변 및 혈액 검사로 만성콩팥병의 발생 여부를 조기 진단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당뇨병성 만성콩팥병을 예방하려면 목표혈당을 당화혈색소 기준으로 7.0% 수준으로 낮추고 목표혈압도 130/80㎜Hg(단백뇨가 1g/일 이상인 경우 125/75㎜Hg) 수준으로 줄이라고 학회는 제안했다. /송대웅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